학술논문
Art Nouveau 양식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이용수 261
- 영문명
- A Study on Hair Design applying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Style -Focusing on Up-style, Hair by Night, Design Cut-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강정아(Jung-Ah Kang) 오현주(Hyun-Ju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2권 제3호, 101~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yle of Art Nouveau, giving us the sense of liveliness and natural beauty of curve flowing smoothly, in the contemporary industrialized society with the distinctive feature of its force of uniform and dehumanization, is now applied to and used in many areas as considered to convey the meaning of recovery of humanity.
This paper is on the study and art creation of the Art Nouveau form among the art styles that appear in hair design.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related literary materials, the definition and formative features of Art Nouveau, and the factors and principles of hair design was theoretically studied, and hair designs that reflected the formative features of Art Nouveau styles were analyzed for empirical research.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ee hair designs were created by applying the formative features of Art Nouveau style. Symbolism was created using up-style work, composition was created using hair-by-night work, and mystique was created using deign cuts. Each work was based on the design intent, production procedure, illustration, color and the formative features of Art Nouveau.
In the course of this study, there was difficulties caused by the lack of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art styles that integrated hair design, and thus it is judged that more wide-range research that integrates hair design in Art Nouveau form is needed.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the insufficiency to express the features of Art Nouveau in just three piec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아르누보 양식을 응용한 현대 헤어디자인
Ⅳ. 작품제작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치인의 이미지 연구
- 미용사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직업 및 스트레스 관련요인
- T.V 드라마에 표현된 조선시대 고전머리에 관한 연구
- 경락마사지가 비만중년여성의 중성지방(TG) 및 신체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동서양의 여성정치인에 대한 패션ㆍ색채이미지 분석
- 경락마사지가 여대생들의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 현대패션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알레고리 연구
- 신조형주의 미술에 의한 네일아트 제작연구
- 시장분석을 통한 2011 S/S국내 골프웨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발반사요법이 스트레스, 주의지수 뇌파에 미치는 영향
- 헤어기능경기대회 종목 및 세부기술에 관한 연구
- 피부관리실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Art Nouveau 양식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애니멀 프린트 조형성에 관한 연구
- 충청지역 남녀 대학생의 자외선에 대한 인지도와 자외선차단제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