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ing of Cangzhou gardens in the Early Ming Dynasty and the Forming of Cangzhou “Kung fu Town”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 저자명
- 于秀萍(YU Xiu-Ping)
- 간행물 정보
- 『아시아연구』제12호,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역사상 軍政지위와 經濟지위로 놓고 볼 때, 滄州지역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明初의 창주지역은 京畿重鎭에 속했고, 또한 북부 변방 및 내지와 인접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정부는 당연히 滄州를 매우 중시하였다. 明朝廷은 滄州에 衛所屯田을 설치하였고, 대량의 軍戶들이 滄州로 이주하였다. 明初의 滄州지역은 여타의 京畿지역에 비해 軍籍인구가 가장 많이 유입된 지역이었다. 明初滄州의 軍戶는 軍功과 罪囚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었다. 滄州에 이주한 자들은 대부분 군공 가족이거나 罪에 연루되어 처벌당한 文化的소양을 갖춘 世家들이었다. 滄州에 流入된 인구는 많았고 그들의 지위가 상당하여, 明初의 滄州에서는 “人恥爲軍”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明代에는 軍士의 지위가 낮았다”는 주장은 明代의 滄州의 실정에는 맞지 않았다. 軍戶들은 평상시에는 駐屯地에 주재하였고. 戰時에는 명령에 따라 파견되었고, 전쟁이 끝나면 다시 돌아왔다. 대부분의 軍人과 그 家屬및 그 후예들은 주둔지에서 대대로 거주하며 점차 土着化하였다. 滄州의 많은 문화적 특징 중에서 “武術”은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滄州人의 무술 숭상 기풍은 春秋戰國시기에 이미 매우 농후하였으나, 武術의 種類와 流派滄州에 대규모로 유입된 것은 明初즉, 軍戶들이 滄州에 대거 유입된 이후부터이다. 특히 回族軍功가족들이 유입된 이후 滄州의 武術은 획기적인 변화를 겪었다. 왜냐면 回族은 尙武民族으로서 武術은 그들 생활의 일부분이었기 때문이다. 軍人들이 武術을 즐기는 전통은 滄州의 무술을 더욱 빛나게 하였다. 明初에 軍戶가 북쪽으로 이동한 후 北元의 세력이 점차 약해지자, 軍功型仕宦가족들은 子弟들에게 科擧에 투신하도록 하였고, 점차 科擧家族으로 변화하였다. 그래서 “且文且武”는 明ㆍ淸이래, 滄州家族의 하나의 특징이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이들이 軍戶출신 이었다는 점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그들이 후에 科擧試驗에 열중한 것과도 관련된다. 明ㆍ淸이후 滄州家族들이 전해온 “文武兼備”의 處世哲學은 滄州가 최종적으로 “武術之鄕”이 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영문 초록
Cangzhou area near the Capital belonged to the adjacent of the northern border with the mainland since the early Ming period. It was concerned by the Ming Government extremely. The Ming government set up the border guards and farmed here. Thus a lot of army’s families came to Cangzhou continually. These army’s families were characteristic that most of them were the revolted troops and the offenders. These immigrants mostly were military merit clans and the implicated cultural families. Because they immigrated into Cangzhou in a large population and had high social status, there was no “shame for the military man” phenomenon in Cangzhou area during the Ming dynasty. The statement of “Soldiers’ Status was low in the Ming Dynasty” was not approved in Cangzhou of the early Ming Dynasty. Gradually most of the soldiers, their families and their descendants became the inhabitants.
You could say “Martial Arts” is the core of culture in Cangzhou. It was said that Cangzhou martial arts had been flourished during the Period of the Spring-and-Autumn. But the introduction of martial arts types in the large-scale was in the early Ming dynasty, namely, after the arrival of the army’s families. There were a good many of the Muslim family. They esteemed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 was the part of theirs lives. They moved into Cangzhou area and made Cangzhou Martial Arts the new look. The descendants of the army’s families had genius for martial arts. Martial Arts eventually changed into “Cangzhou card”. The arrival of army’s family formed “both civil and military ability” social philosophy of Cangzhou people and played an essential role to Cangzhou as a “Kung fu Town” finally.
목차
〔提要〕
一、明初滄州衛所軍戶群體的形成
二、以軍功和罪囚為特色的來滄軍戶
三、軍戶與滄州“武術之鄉”的形成
小結
〈abstract〉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