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파트 브랜드이미지가 구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이용수 251
- 영문명
- Analysis of Purchase Factors which are Effected by Apartment Brand Image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신영애(Shin, Young-Ae) 민규식(Min, Gyeu-Sik)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9권 제1호 (통권 제15호), 113~12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house’s value is an abstract concept as much as an individual taste, in turn causing an effect on a consumer’s housing purchase behavior. Consumers do not choose their housing solely on the basis of its functionality; but moreover,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a house’s value, such as the possibility of a rise in housing prices, social setting, and company prestige, home buyers will make a final decision in purchasing a home. With these desires, housing consumers have a preference for reliable and quality built homes, built by big firms.
Construction firms began to market and sell their independent brand name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apartment housing competitors. During the Exchange Crisis in the late 1990s, unsold apartments caused an economic liberalization of selling prices. But since the rise of income level in the 2000s, Korean consumer’s budgets have increased for a reputable apartment’s worth.
To enable housing consumers to choose their housing, construction firms have made efforts to enhance or establish their own unique brand name image. And over time, the influence of the power their brand name has had on consumers, has gradually increas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abstract value system of a product’s brand name, rather than the functionality of the actual product, has led consumers to make a purchasing commitment. So now construction companies will continue to build up their brand name image, reputation and prestige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rest, and satisfy customer’s desires. Companies should focus their brand name image around creative concepts and reasonable prices, considering buyers’ positive well-being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ir ho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what motivates and influences a consumer’s intention to buy, and what is desired and sought after from consumers. This study should assist and reinforce housing suppliers to establish their reputation for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strategizing their marketing plan based around their customer’s desires, to create a better housing cultur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
Ⅲ. 자료현황 및 자료분석
Ⅳ.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환경에서 건축물의 현상학적 인지 체계에 관한 연구
-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재테크에 대한 인식이 주택구입의 우선순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시시설 건축구상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가 구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민간개발사업에서 건설회사의 사업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 이용활성화를 위한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계획방법 선호도 연구
-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의 한계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 부산시 도심재생의 글로벌 전략 방향에 관한 연구
- 가계 자산구조와 주택소유결정요인 분석
- 부동산펀드의 운용특성 분석
- 한국ㆍ중국 주거건축 공간구성 비교
- 토지은행제도의 효율성 제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