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ㆍ중국 주거건축 공간구성 비교
이용수 4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Korean House and Chinese House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김동영(Kim, Dong-Young)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9권 제1호 (통권 제15호), 13~2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inds out the spatial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Houses with space syntax.
The results of analysis so far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f all, korean house shall have priority in visible division system for gender classification and in space system for the distinction of status. But For chinese house, in visible or invisible, the higher hierarchy of space is placed more inside of the house.
While korean house have high connectivity and opened space with MaDang, chinese one have closed space system. It shows difference between korean house which get privacy and authority by opened spaces and chinese house which get privacy by closed and deep spaces. So, although similar courtyard system, they shows different space system each other. Next, in case of apartment of nowadays, korean one have more opened spaces than chinese one. And It shows that korean apartment still reflect traditional lifestyle, preferred space and social structure.
Korean house’s opened space with MaDang has evolved into space of nowadays apartment of korea around livingroom. On the other hand, although chinese traditional house is in progress with yuànzi(院子) as center, nowadays apartment of china is in progress with dining room. Also, China is identified as having more independence from personal space than Kor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전통 주거:양반 주택과 사합원
Ⅲ. 현대의 공동주거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환경에서 건축물의 현상학적 인지 체계에 관한 연구
-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재테크에 대한 인식이 주택구입의 우선순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전시시설 건축구상
- 아파트 브랜드이미지가 구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민간개발사업에서 건설회사의 사업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 이용활성화를 위한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계획방법 선호도 연구
-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의 한계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 부산시 도심재생의 글로벌 전략 방향에 관한 연구
- 가계 자산구조와 주택소유결정요인 분석
- 부동산펀드의 운용특성 분석
- 한국ㆍ중국 주거건축 공간구성 비교
- 토지은행제도의 효율성 제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