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presentation of Memories, The Portrait of A Ignored Perform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영배(Lee, Young-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6輯, 251~29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record of a poongmul artiste in Naju district. The artiste is Lee Ju-an. He was ignored in the history of poongmul or local culture. But, He needs to be revived in the history of poongmul or local
cultu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his cultural portrait through the memories about him. His daughters or colleagues are key informants who remember him as a excellent performer.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ir oral statements. First, it examined his mind of poongmul, and the socio-cultural features of his performance. Second, revealed more details of the aspects of his performance. This study would be well worth in point of representation of a ignored, marginal culture.
목차
1. 나주 풍물과 이주안
2. 예능적 특징과 사회문화적 지향
3. 공연 형식과 가락의 맥
4. 풍물사적 의의와 문화적 의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 계열 실용 글쓰기 교육 방안
- ‘공문서 바로 쓰기’ 교육의 개선 방안
- 『陋巷詞』의 서술 짜임과 의미 고찰
- 『梅翁閑錄』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 개념 은유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글쓰기 수업 연구
- 두만강의 양면성 고찰
- 기억의 복원, 잊혀진 풍물 예인의 초상
- 『태백산맥』의 탈식민성 연구
- 근대국어 의도 관계 연결어미 연구
- 대학의 사고와 표현 관련 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의 활용에 대한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보조사 ‘나’의 교육 방안
- 1950~60년대 서정주 시 연구
- ‘-어 오다/가다’의 직시적 의미와 상적 특징
- 문순태 분단소설 연구
- 재일 한인문학의 특장(特長)과 균열의 틈새
- <열녀함양박씨전>에 나타난 정절의식 분석
- 일제시대 一枝梅 관련 새 자료의 양상과 의미
- 「周生傳」의 創作 背景
- 접두파생어 발음 오류를 통해 본 파생어 교육 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