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Change Rate of Housing Price by Areas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저자명
- 김견규(Gyeon-Gyu Kim) 송호창(Ho-Chang Song) 이주형(Joo-Hyung Lee)
- 간행물 정보
- 『부동산 도시연구』제3권 제1호, 101~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택시장의 상황과 전국 각 지역의 고유한 특성요인을 구성하여 주택가격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지역별(수도권과 비수도권)로 영향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함으로써 유형별 주택가격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의 주택시장 가격변화 회귀모형은 수도권 지역이 가격변동이 심하며 건설이 활성화되어 있고 고령인구 비율이 높으며 고학력자가 많은 지역의 주택가격변동이 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둘째, 수도권 지역의 주택가격변화 회귀모형은 가구 수가 많으면서 주택보급률이 높은 지역의 주택가격의 변동이 크지 않으며, 고학력자가 많은 지역일수록 주택가격의 변동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비수도권 중 대도시를 포함한 회귀모형의 경우 혼인건수가 많아 사회적인 인구구성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지역과, 건설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주택가격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비수도권 중 대도시를 제외한 지방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방중소도시에서는 재정자립도 및 지방세 총액이 높을 수록 주택가격변화가 심하고, 주택보급률이 높고 문화시설이 갖추어진 지역일수록 주택가격의 변동이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택지개발 등으로 주택과 문화시설 등 편의시설이 적절한 수준으로 보급되어 있는 지역은 추가 주택수요가 많지 않으므로 가격의 변동이 크게 일어나지 않음을 유추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housing markets in Korea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rates of the housing price changes and thereby, compare the influential powers of such factors between regions(capital and the other region) in order to put forward some suggestions about the housing price changes by type of the housing market. The results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nation-wide, the housing prices had fluctuated most in the capital region as well as in the regions with higher rates of theel derly population and those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Second,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apital region, the housing prices had fluctuated less in the regions where the rate of housing ownership was higher, while they had fluctuated more in the regions where the rate of the population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was higher. Third, in case of the regression model covering the non-capital regions including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As a result of testing this model,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the housing price changes was higher in the regions where the number of marriages was larger, the social population structure changed much and
constructions were activated. Fourth,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the housing prices had fluctuated more in the cities with higher rate of financial self-reliance and higher local tax revenues, while they had fluctuated less in the cities with higher rate of housing ownership and more cultural facilities were distributed appropriately owing to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자료의 수집 및 특성분석
4. 주택시장 유형별 주택가격변화 영향요인 분석
5.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청년층 재고용에 공공고용서비스 정책이 미치는 영향
- 아웃소싱, 기업 간 불균등한 이익배분과 임금불평등: 아웃소싱이 어떻게 임금불평등을 초래하는가?
- 인공지능 기반 문서처리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