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홀리스틱 관점에서 열린운동회의 교육적 의미
이용수 18
- 영문명
- The Hol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Open Field Day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박근대(Park, Geun Dae) 조한무(Cho, Han Moo)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109~1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즘을 배경으로한 홀리스틱 교육관점에서 열린 운동회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홀리스틱 교육과정에서 ‘연관’ 과 ‘포괄’에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열린 운동회에 대한 질적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홀리스틱교육에서는 사물간의 연관성에 대한 이점을 위해 개인적 분절성을 극복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일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 볼 때 열린운동회는 학생과 학부모 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의미 있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홀리스틱교육은 한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문제나 삶의 전체적 상황에서 접근하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열린운동회 프로그램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교육의 장이 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합시켜 민족문화 계승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 문화 행사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홀리스틱교육에서는 인간이 지닌 본성을 바람직하게 교육하기 위한 수단으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와 호기심 유발 등을 위한 영성적인 발달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한 관점에서 열린운동회의 프로그램은 선택적 자발적인 면을 신장시키는 의미 있는 교육프로그램이다. 넷째, 인간의 본성을 말할 때 타인과 분리하여 자기를 바라본 소아(ego)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생명체의 관계를 깊이 의식하는 초월적 아자, 즉 대아(higher self)가 있다. 홀리스틱교육에서는 대아를 중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열린운동회의 프로그램은 대아적인 삶을 체험케 하는 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urports to make clear the holistic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the open field day in itself has. For this purpose the so called qualitative method will be employed in this study. We can formul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bringing forth in the following: 1. The open field day can be regarded as the holistic educational field, in which the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participate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2. The open field day plays the role of connecting the life styles of the parents generation with those of the children generation, especially because the open field day program consists of korean traditional plays and games. 3. The educators who have experienced the open field day have characterized it as contributing to human-centered education and as fostering the voluntary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의 절차 및 내용
Ⅳ. 자료수집
Ⅴ. 자료분석
Ⅵ. 연구결과
Ⅶ.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