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rection of Climate Refugee Emergency Management
이용수 19
- 영문명
- Direction of Climate Refugee Emergency Manage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Dong Kyun Park Sung Je Cho Jea Hyen S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6권 제4호, 255~27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limate refugee began to appear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whole world. It seems that there will not be many countries that can offer more funds and places for protecting climate refugees, which occur owing to climate change.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a problem about climate refug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task, which will need to be done preferentially to solve a problem about climate change, is what recognizes and accepts climate refugee by which each country of the world fixes up the domestic law. And, it is what make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system launched with a purport of sustainable progress by developing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in 1992. Finally, What is important given establishing policy for emergency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or climate refugee is how to respond to global warming, and to lack of resources according to it, to abnormal climate, and to a rise in disease. It is actually connected with social.political.economic factors that are buried in the base of climate chang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Ⅲ. The Advent of Climate Refugee
Ⅳ. Case Studies of Climate Refugees
Ⅴ. Conclusions and Policy Agenda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고층 건축물의 폭발물테러 예방을 위한 건축계획 가이드라인 연구
- 소비자 관점에서 본 장애인의 생활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Direction of Climate Refugee Emergency Management
- 식품안전규제에 있어서 소통을 위한 거버넌스 모형
- 119구급대의 환자 이송 단계에 관한 연구
- 교육행정기관의 사이버 위기관리 활동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불확실성 하에서 재난관리의 보편성과 특수성간 상호제약에 대한 연구
- 실시간 홍수예경보를 위한 수위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 재난관리 예산결정과정의 기대-불일치 연구
- 소방조직 재난대응 활동에서의 사회적 자본 분석
- 효율적인 해양안전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수해경험 노인의 구호인적자원과 구호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 한국의 디지털전환정책에 대한 위험요인 분석
- 기후변화적응 국제협력을 위한 패키지딜방식의 천연자원연계 방안
-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시 효율적인 응급 보건의료조직체계 구축 방안
- 위기관리 연구의 흐름과 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