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북지역 학교급식 부식납품업체의 위생관리 분석
이용수 65
- 영문명
- Evaluation on Sanitation Management of Suppliers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보영(Bo Young Park) 이영은(Young Eun Lee)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4권 제2호, 49~5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anitation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and to suggest ways to increase foodservice quality and promote efficient operations in the future. A questionnaire survey was provided to 45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and 302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and the return rates were 80.0% and 70.2%, respectively.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ly 4, 2008 to July 31,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A total of 36 vendors supplied agricultural products, kimchi, industrial products and 76.4% of dietitians checked 1∼3 suppliers twice per year. The evaluation tool for sanitation management was composed of 42 checklist items and used to assess 6 categories ; personal sanitation, operational sanitation, sanitation education, facilities sanitation, transportation sanitation and the others. 97.2% of the suppliers practiced health inspection once per six months. Among the checklists of operational sanitation category 38.2% of suppliers just kept the inspection document for 2 years and despite 5.9% of them used underground water, 2.9% of them didn't implement any inspection.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evaluated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personal sanitation and operational sanitation categories.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and suppliers assessed the performance level of other categories. The performance level of personal sanitation and operational sanitation was 3.86 and 4.28 out of 5 points. The performance level of facilities sanitation evaluated by dietitians and suppliers was 3.26 and 4.06 out of 5 points. The performance level of transportation sanitation evaluated by dietitians and suppliers was 3.40 and 4.35 out of 5 points. The dietitians evaluated the lowest points of 2.91 out of 5 points on temperature control over food material selection operations among the checklist it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류소재 추구혜택이 천연염색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의 스키니 진 착용 현황과 개선요구도
- 1960년대 제안된 미래주거 계획개념 및 주요특성 고찰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양육태도 및 교사의 지지적관심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교급식에서 전통 절기음식 제공 및 가정통신문 배부가 중학생의 전통 절기음식에 대한 인식 및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시판 과자류에 표시된 영양표시의 내용분석 및 평가
- 노인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구매결정요인과 구매 만족도
- 충북지역 학교급식 부식납품업체의 위생관리 분석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방문판매 화장품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시 평가기준
- 백화점내 리테일 엔터테인먼트가 의류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부부애착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통제와 분리불안
- 충북.대전지역 초, 중, 고등학교 직영급식소의 육가공품 사용실태
- 경기일부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기능성 식품 이용실태 및 인식
- 이성친구의 유무에 따른 대학생의 소비행동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