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ve Criteria in Purchasing the Door-to-Door Selling Cosmetics by Lifestyl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황지선(Ji Sun Hwang) 권수애(Soo Ae Kweon) 유정자(Jung Ja Yoo)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4권 제2호, 95~11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fil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for door-to-door sales among females who were in their 20s to 50s, classify into four segments of lifestyle, and examine differences in evaluative criteria for cosmetic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lifestyle segm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00 wome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424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a SPSSWIN 14.0 program. The women investigated mostly got to use cosmetics for door-to-door sales after they used the samples through the recommendation of salespeople or relatives. And they often acquired information from salespeople as well. As for purchase evaluation criteria, they placed significance on the substantial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such as effect, quality, skin compatibility and use and the convenience of return and exchange when they purchased cosmetics. Their lifestyle made differences to the evaluation criteri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대생의 스키니 진 착용 현황과 개선요구도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방문판매 화장품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시 평가기준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양육태도 및 교사의 지지적관심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교급식에서 전통 절기음식 제공 및 가정통신문 배부가 중학생의 전통 절기음식에 대한 인식 및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의류소재 추구혜택이 천연염색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백화점내 리테일 엔터테인먼트가 의류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부부애착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통제와 분리불안
- 이성친구의 유무에 따른 대학생의 소비행동 특성
- 경기일부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기능성 식품 이용실태 및 인식
- 1960년대 제안된 미래주거 계획개념 및 주요특성 고찰
- 시판 과자류에 표시된 영양표시의 내용분석 및 평가
- 노인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구매결정요인과 구매 만족도
- 충북지역 학교급식 부식납품업체의 위생관리 분석
- 충북.대전지역 초, 중, 고등학교 직영급식소의 육가공품 사용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