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terminant of Turnover Behavior Of IT Professionals - Focusing On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Pay Level And Trust Culture -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김범성(Kim, Beom Seong)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7권 제4호,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직수준에서 IT전문가의 임금수준이 이직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조직문화의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소 IT기업의 인사담당자들로부터 수집한 278개의 유효한 설문자료를 분석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IT전문직 규모와 내부 노동시장의 위계가 클수록 이직률은 낮아지며, 조직문화는 이직률에 직접효과가 있는 동시에 임금과 이직률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연구의 의의, 시사점, 그리고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searches the influence of IT professionals' pay level to their turnover behavior and the 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trust culture at the firm level. To test the hypotheses, the 278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HR officers at the small IT firms is analyze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y level, IT professional's size, and firm's hierarchy negatively influence the firm's quit rate. Trust culture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to the quit rate. Trust culture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y level and quit rate. Lastly, the significanc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agenda a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영전략이 인사부서의 역량과 몰입형 인사제도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 직무특성 및 팀 리더의 태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사관계와 지식공유
- 몰입형 및 통제형 인사제도가 인사관리 효과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직웰빙(OWB)의 개념화와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조직구성원들의 가치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군(軍)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공공부문근로자의 작업장참여 및 인사정책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공정성과 조직결과변수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및 부정적 성향의 조절효과
- Analyzing The Effect Of Firm Specific On-The-Job Training On Labor Incom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HLM)
- 비정규직과 정규직 연대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관한 연구
- R&D 인력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작업장학대의 선행요인 및 결과영향 연구
- 생명보험설계사의 이직 결정요인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생활만족이 미치는 조절효과
-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선박관리기업 경쟁력 결정요인과 파트너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략유형 선택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육군 부사관의 감성지능이 군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T전문가의 이직행동의 요인
- 가족친화경영과 조직구성원 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일-가정 갈등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