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ception of Future-oriented Methodology of General Writing Education - Utilizing scenario technique of future studies -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수이(Su-yee, Kim) 이문재(Moon-jae, Lee)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6輯, 227~2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riting, basically, is a creative, future-oriented and practical act. As one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writing education must not depend on neglect the demand of the actual, but must not neglect it. The scenario technique of futures studies is educational methodology able to combine productively the essence of writing(creation, planning, and practice) with actual utility(actual use in life such as social demand, employment, etc.). A scenario of future expectation is multi-sided writing that incorporates creative imagination, actual recognition underlying imagination, a concrete method preparing for the future, etc, and that, at the same time, looks for the demerit of imagination and the actuality. Learners can have a valuable experience which writing and life becomes one and seeks together the future of themselves and the world doing writing about their imaginative world. A scenario on the future enables a learner to escape from old writing and grow to become the active subject of writing. Also, it can contribute to a learner learning 'ethics of the community living together' worrying about the future of society and human beings as well as his/her own future. This writing, referring to discussions of future scholars, divided the educational methodology of a scenario of future expectation into six as follows: 1) Proposal of the goal of writing a future expectation scenario, 2) Motivation for future expectation, 3) Creating a question, 4) Looking for materials, 5) Writing a scenario, 6) Examining a scenario, etc. It described details of each together with various examples.
목차
1. 문제 제기 - 글쓰기 교육의 본질적 목표와 현실적 요구
2. '글쓰기'와 '상상력'에 대한 재인식
3. 미래학의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詩言志'의 過程詩學的 硏究
- 『증보문헌비고』「악고」의 고려가요 인식과 그 의미
- 한국시의 이데올로기와 시사적 의의
- 『水村漫錄』소재 豫言詩話의 양상과 그 의미
- 미래 예측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교양 글쓰기 교육 활성화 방안
- 김혜순 시에 나타난 여성 억압의 근원과 대응 양상
- 南怡 說話의 傳承樣相과 堂神化 過程
- 유머텍스트의 구조와 의사소통 전략
- 대학 글쓰기 교과의 변화와 독서교육
- 고은의 시와 선적(禪的) 감각
- 玉所 權燮의 文學觀 硏究
- 김현승 후기시의 은유적 전이 양상
- 현대시에 나타난 선비정신
- 고전소설의 유통양상과 문학교육에서의 활용방안
- <周生傳>의 浪漫性에 대한 文學社會學的 讀解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