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uctural Analysis of Humor Text and Communication Strategize - Focused on Urge social alcohol of Gag Concert -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강연임(Yeon-im, K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6輯,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a structure of humor text and communication strategize with Urge social alcohol of gag concert. Urge social alcohol is a part of gag concert, and it satirizes a social issue. It has three episode parts, and in each episode there is an event that be a issue of those days. And that issue is made a caricature, then showed a funny story. Each episode is connected with common subject matter, with based on that focuses on the main subject. So that structure has a cohesion. The main cont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text structure of Urge social alcohol has a microscopic structure and macroscopic structure. First the microscopic structure is consist of three episode parts, and each episode is consist of questioning+answer+error correction, problem+solve and ending. The macroscopic structure of text is consist of introduction+development+ending. The first part introduction starts a simple humor, and development part is a main part, that has an important subject. And last part ending is a simple humor like a introduction part, and finishes a hole text. The formation facts of humor text are non-original utterance chain, use of tool as a buzzword, and humor interpretation based on recognized information. Therefore with using these facts, text structure is tight. And linguistic meaning of humor text is subject delivery reinforcement used of structure, catharsis of emotion rely on the play on words and humor as a communication facts.
목차
1. 서론
2. '술 권하는 사회'의 텍스트 구조
3. 유머텍스트 형성 기제
4. 유머텍스트의 언어학적 의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詩言志'의 過程詩學的 硏究
- 『증보문헌비고』「악고」의 고려가요 인식과 그 의미
- 한국시의 이데올로기와 시사적 의의
- 『水村漫錄』소재 豫言詩話의 양상과 그 의미
- 미래 예측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교양 글쓰기 교육 활성화 방안
- 김혜순 시에 나타난 여성 억압의 근원과 대응 양상
- 南怡 說話의 傳承樣相과 堂神化 過程
- 유머텍스트의 구조와 의사소통 전략
- 대학 글쓰기 교과의 변화와 독서교육
- 고은의 시와 선적(禪的) 감각
- 玉所 權燮의 文學觀 硏究
- 김현승 후기시의 은유적 전이 양상
- 현대시에 나타난 선비정신
- 고전소설의 유통양상과 문학교육에서의 활용방안
- <周生傳>의 浪漫性에 대한 文學社會學的 讀解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