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개서의 연구 동향
이용수 193
- 영문명
- Current Studies on the Book of Haggai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기동연(Ki, Dong-Youn)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15권, 329~36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book of Haggai is a short prophetic book, with only two chapters,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st-exilic believing community. Only a few schola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study of the book, and their studies are divided in two directions. One is the traditional critical study, the other is the study of the main theological topics of the book of Haggai. As regards for the main topics, scholars have focused their studies on the messiah, temple, eschatology, and exodus. Usually, the messianic topic is related to Hag 2:7 and 2:23, and eschatology is related to Hag 2:6 and 21. The exodus motif is related to Hag 2:5-7, 21-22. Critical scholars employed for their study textual criticism, historical criticism, form criticism, and redaction criticism. The textual debate is focused on Hag 1:15, historical criticism is on the military expressions in Hag 2:20-22. Redaction study is often connected to the historical criticism and eschatological expressions. Since 1990, scholars have employed the rhetorical approach and text-linguistic approach for their studies. The rhetorical studies have contributed to see the book as a whole, while textlinguistic to reveal the exact meaning of the text.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신학적인 핵심 주제에 따른 연구
3 전통적인 비평학자들의 연구 동향
4 1990년대 이후 연구 동향: 수사학적 방법론과 본문 언어학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