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litical Transformation and Internal Political Dynamics of Turkic Republics in Central Asia - Focusing on Azerbaijan, Turkmenistan, Kazakhstan, Uzbekistan, Kyrgyzstan -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오종진(Oh, Chong-Jin)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중동문제연구 제7권, 37~6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en newly independent states(NIS) emerged in Central Asia, many Predicted that it would be followed by the
democratization of the states. This notion has turned out to be at best premature, at worst misguided. In Central Asia, the first decade of independence has been marked by strong authoritarian presidentalism. To varying degrees, Azerbaijan, Kazakhstan, Kyrgyzstan, Turkmenistan and Uzbekistan have all been dismissed as authoritarian systems, hostile to democracy and the rights of citizens. All Turkic republics in Central Asia adopted presidential systems which eventually opened the doors for powerful individuals to rise to the fore
and claim authoritarian powers. Presidents Akaev, Aliyev, Karimov, Nazarbaev, Niyazov all consolidated their grip in very similar ways, and to the determent of political parties and parliaments. Thus, this work examine how the presidents of the Central Asian republics came into office and how they have managed to stay in office in the face of enormous transitional challenge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roblem of Central Asian politics is not simply one of presidential might versus feckless parliaments. Rather relationship is something of a
sideshow to what is occurring on the main political state, which is dominated by great power brokers(Clans, barons, magnates, tribal leaders) and the networks they control. Consequently, presidents and parties, as well as parliaments in Central Asia are engaged in a constant struggle with these power brokers and networks. In addition, this work also shows the different perspectives(internal/ external) on the Central Asia's Socio-political situatio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중앙아시아 정치와 소비에트 정치유산
III. 독립 후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사회 변혁
IV. 중앙아시아 정치구조의 특징
V. 중앙아시아 각국의 정치 개관
VI.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국가들의 정치변혁과 내부적 정치역동성
- 근 현대 아랍 이슬람 정치사상에 비친 이슬람과 민주주의
- 아랍 설화의 형성과 전파 연구
- 깔데론 데 라 바르까의 『지조 있는 왕자』에 내재된 좋은 아랍인의 본질
- 쿠웨이트의 경제개발의 과제와 전망
- أثر القرآن الكريم في الشعر الاندلسي
- دراسة إمارة بني عباد بإشبيلية في الأندلس
- في العالم الإسلامي آراء الخصوم والأنصار في نظام تعدد الزوجات
- The Sudanese Studies in Korea
- Food Security and Crisis in the Middle East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살아있는 지역, 그것이 지역학이 필요한 이유다!
- 용인 고려백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 창출 - 용인시와 일본 카사마시를 중심으로
- 지역성의 발명 - 성남시 사랑방문화클럽 사례를 통한 지역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