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김문기(Kim, Mun-Gi)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30집,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tudy on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in Korean.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30. This study is focused on a grammatical category of exclamation in Korean. The respect of Normative grammar in Korean, a exclamation is classified as a independent element. That is, exclamation has no relation to a sentence. But I think exclamation affects to the sentence in syntactic.semantic respect because exclamation carries syntactic.semantic functions. At the point of syntactic function, exclamation modifies other word. And at the point of semantic function, exclamation expresses the meaning of modality. Among a part of speech in Korean, adverb carries these function. So I argu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xclamati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adverb as a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For this purpose I suggest that adverb's system has modification, conjunction and modality function in Korean. The exclamation is included in adverb expresses modal meaning, that is modality function adverb.(Kyungsung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기
2. 감탄사의 개념과 기능
3. 감탄사의 문법 범주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바다, 몸과 글쓰기의 친화력
- ‘그림 보고 말하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교육 연구
- 옛말의 문법 교육을 위한 보조 교재의 체제
- 문학의 형상성과 문화의 편재성
- 국어 풀이씨 뒷가지의 유형
- 이태준 단편소설의 정신주의 연구
- 노트하기를 통해 살펴본 독해전략 활용 양상 연구
- 감탄사의 문법 범주에 대한 연구
- 신문 칼럼 제목의 언어 형태 분석
- 해운대 풍경의 시적 관념화 고찰
- 지명 활용을 통해 살펴본 부산을 읊은 가사 두 편
- 김동립의 『주인 없는 성』 연구
- 국어 활용형의 통시적 변화 연구
- 지역방언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 상인 트릭스터담의 성격과 전승 의미
- 개국시조형 군왕설화의 특성과 인식양상 연구
- 구비설화에 형상화된 가축의 가족 공동체적 성격과 국어교육적 활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