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전기 불교의 이념적 변화 과정 연구

이용수  765

영문명
A Study on the Ideological Change Process in Chosun Buddhism ─Focusing on Monk Armies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박재현(Park, Jae-hye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6호, 329~3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의 개국은 불교계의 급격한 이념적 변화를 요구했다. 성리학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신흥 사대부계층의 불교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과 국가운영의 효율성을 염두엔 둔 왕실의 요구가 불교의 이념적 변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조선전기의 불교계는 점차 사회지향적인 성리학적 이념과 가치를 수용하는 쪽으로 이념적 변화를 모색해 나갔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조와 조선조의 불교계의 이념적 차이를 실제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그 사례로 승군(僧軍)과 의승병(義僧兵)의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려의 승군은 정규군의 자격을 갖추고 있었고, 승려는 승과를 통해 관료와 같은 지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고려조의 불교가 국가경영의 일원으로 인정받았다는 보여준다. 이에 비해 조선의 승려들은 그 신분상 국가운영 시스템에서 배제되어 있었으므로 이들이 전장으로 나설 실제적인 이유는 전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승병이 자발적으로 봉기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 개국이후 불교계의 이념적 변화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개국 초기 불교계는 왕실과의 친분을 바탕으로 각종 불교 이념의 사회적 가치와 개국의 정당성을 불경언해를 통해 정당화했다. 아울러 철학적으로는 유불도(儒佛道) 삼교의 회통 작업을 통해 성리학적 가치체계를 수용하는 작업을 진행해 나갔다. 이런 노력의 결과, 보우와 휴정 대에 이르러 유학과 불교의 이념적 지향점은 혼연일체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념적 변화 과정을 배경으로 하여 조선의 승려들은 수행자 신분과 살생 사이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자기모순이 해소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t the founding of the Chosun dynasty, a dramatic ideological change was required in Korean Buddhism. An emergence of political scholars(士大夫) based on Confucian values, and the state court’s need for state operational efficiency required Buddhist ideological changes. Buddhism in Chosun, a Confucian-oriented society, gradually accepted the Confucian ideas and values. In this paper, I have actually focused on the case of a regular monk army(僧軍) in the Goryeo(高麗) dynasty and a monk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義僧兵) in the Chosun dynasty. This helps make clear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Goryeo and Choseon Buddhism. The monk army in Goryeo was considered eligible for the regular army and achieved an official position. In contrast, the monk army in Chosun was excluded from the state operating system. Nevertheless, the monks in Chosun were able to rise up as warrior monks composed of volunteers, because the period of previous ideological changes. Early Chosun Buddhism philosophically justified Buddhist social values, through the thought of three religions in harmony(三敎會通) and the thought of Confucian-Buddhist harmony(儒佛一致). On the basis of these ideological changes, a monk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was able to participate in the wa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고려의 승군과 조선의 의승병
3. 조선전기 집권층의 불교에 대한 인식
4. 불교계의 이념적 변화과정과 성리학적 가치체계의 수용
5. 보우의 일정론과 의승병의 이념적 배경
6.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현(Park, Jae-hyeon). (2010).조선전기 불교의 이념적 변화 과정 연구. 불교학연구, (26), 329-358

MLA

박재현(Park, Jae-hyeon). "조선전기 불교의 이념적 변화 과정 연구." 불교학연구, .26(2010): 329-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