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唯識性(vijñaptimātratā)의 定義에 대한 고찰

이용수  151

영문명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Vijñaptimātratā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혜경(Lee, Hye-ky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26호, 297~32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친에 의하면 유식성(vijñaptimātratā)은 眞如·圓成實性·法性·法界·共相과 동의어이다. 본 소고는 이들이 동의어가 되는 조건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그것들은 비존재의 존재(abhāvasya bhāva), 혹은 비존재(abhāva 無)를 본질(svabhāva)로 한다는 점에서 동의어가 된다. ‘abhāvasya bhāva’에서 abhāva(無)란 人과 法의 無我라는 뜻이고, bhāva(有)란 緣生法의 보편적 특징(共相)이라는 뜻이다. 즉 共相이 비존재의 존재이다. 유식성이 ‘법의 共相’이라는 주장은 연생법이 유식이고 依他起性이라는 뜻을 함의한다. 따라서 유식과 유식성의 관계는 법과 법성, 의타기성과 원성실성, 유위와 무위, 공과 공성의 관계가 된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Vasubandhu, vijñaptimātratā is a synonym of tathātā pariniṣpannasvabhāva·dharmatā·dharmadhatū·sāmānyalakṣaṇa. This article examines under which conditions these terms are synonymous. The result is that, they are synonymous in that they consider abhāvasya bhāva, or abhāva(無) as svabhāva. According to abhāvasya bhāva, abhāva(無) means pudgara·dharma-nairātmya(人·法無我), and bhāva(有) means sāmānyalakṣaṇa of pratītyasamutpannadharma. Hence, sāmānyalakṣaṇa is abhāvasya bhāva. The claim that vijñaptimātratā is sāmānyalakṣaṇa implies that pratītyasamutpannadharma is vijñaptimātra and paratantra-svabhāva. Consequently, the relationship of vijñaptimātra and vijñaptimātratā becomes those of dharma and dharmatā, paratantra-svabhāva and pariniṣpanna-svabhāva, saṃskṛta and asaṃskṛta, śūnya and śūnyatā.

목차

Ⅰ. 문제제기
Ⅱ. 唯識性에 대한 다양한 표현들
Ⅲ. 유식과 유식성의 관계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경(Lee, Hye-kyung). (2010).唯識性(vijñaptimātratā)의 定義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26), 297-328

MLA

이혜경(Lee, Hye-kyung). "唯識性(vijñaptimātratā)의 定義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26(2010): 297-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