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하의 리더 수용의 선행요인과 효과 연구
이용수 238
- 영문명
-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and Antecedent Factors of Subordinates’ Leader Acceptance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장준호(Jang, Jun-ho)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8집, 99~13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리더십 연구에서 다루어 왔던 방식과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즉, 리더 수용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부하의 태도 및 행동의 형성 원인을 밝히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수용에 관한 개념을 정리하여 제시하였고, 이러한 수용의 개념을 토대로 부하의 리더 수용을 ‘리더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마음의 상태이자, 기꺼이 행동으로 옮기려는 심리적 작용’으로 규정하였다. 또한 부하의 리더 수용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리더의 권력, 신뢰, 카리스마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마지막으로, 부하의 리더 수용이 개인의 성과(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을 위해 총 10개 조직, 285명의 부하직원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준거적 권력이 부하의 리더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리더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정도가 높을수록, 부하의 리더 수용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신뢰구축 리더십의 정도가 높을수록, 부하의 리더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하의 리더 수용과 개인의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리더 수용이 부하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요컨대, 리더의 준거적 권력, 카리스마적 리더십, 신뢰구축 리더십 등이 부하의 리더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 수용이 부하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야기하는 선행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추후 확장된 연구를 통해 리더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사점이 있다. 또한 리더 수용이 바람직한 성과로 이어짐으로써 리더 수용이 갖는 중요성과 정확한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은 사물이나 현상을 받아들이는 수용의 개념을 리더에게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리더십 연구에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undertaken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other leadership research. This study try to find out what influences the attitude and action of subordinates. This research presents the concept of "acceptance," which means subordinates’ active and voluntary acquiescence to the leader and the psychological operation making them willingly respect their superior. In addition, the research inquires into the factors of determining leader acceptance by subordinates, based on the leader’s power, confidence, and charisma. Finally, the study examines what impact the concept of acceptance has on an individual’s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art of this research, 10 organizations and 285 subordinates were sampled.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s follows. First, the referent power of leaders has significant impact on leader acceptance by subordinates. Second, the stronger the leader's charismatic leadership is, the greater the impact. Third, trust-building leadership meaningfully affects leader acceptance by subordinates. Besides, as a result of proving a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cceptance by subordinates and an individual’s performance, the study showed that leader accepta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hort, referent leadership, charismatic leadership, and trust-building leadership have effects on leader acceptance by subordinates, mainly caus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providing the first step forward examin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leader acceptance by subordinates. Furthermore, leader acceptance leads to positive job performance so it helps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leader acceptance.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accepting materials or phenomenon to people, especially leaders,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which provides a subject for further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1920년대 러시아 캄차트카반도 이주 한인들의 정착과 생활에 대한 연구 -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극동의 수산(極東之水産)』을 중심으로
- 중국의 인공지능기반 의료시스템의 거버넌스 구축
- 美国遏制中国的技术联盟战略:动因、特征与前景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