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도구사용훈련이 비구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309
- 영문명
- Ef fects of AAC Device Training Through Scripts on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Nonverbal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신영배(Shin, Young-Pae) 전병운(Jeon, Byung-U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6권 제2호, 355~3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사용훈련이 비구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든 대상 아동들은 스크립트를 활용한 AAC 도구사용훈련을 통하여 의사소통기능이 향상되었고, 친숙하지 않은 스크립트 활동에서보다 친숙한 스크립트 활동에서 보다 높은 의사소통기능을 나타냈다. 또한, 친숙한 스크립트 활동을 제외하고 의사소통도구 유형의 차이가 의사소통기능 수행에 뚜렷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으며, 모든 아동들에게 의사소통기능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볼 때,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사용훈련이 비구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AC device training through script s on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nonverbal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 s were four students with nonverbal mental retardation in a special school. This study used parallel treatment s design across subject s. An AAC device was offered without instruction for its use in the baseline condition. The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of instruction for learning the AAC symbols, and script -based pragmatic training by AAC use to do proper communicative function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 st , all four subject s acquired the proper communicative functions through scripted-based AAC device training. Second, all of the subject s acquired the proper communicative functions in the known- script s more than in the unknown- script s. Third, except for known- scripts, there is little or no difference between AAC device types regarding their influence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Fourth,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of the children were increased by the AAC device training.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과제와 인지과제 동시수행이 정상성인 및 말더듬성인의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 스크립트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AAC) 도구사용훈련이 비구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 PECS를 이용한 어린이집 환경중심의 의사소통중재가 무발화 자폐아동의 욕구의사표현에 미치는 효과
- 한낱말 단계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심리적 상태에 대한 표현어휘 능력 비교
- 다운증후군 아동의 구강구조 및 구강운동적 특성
-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대화 말차례 특성
- 경중도에 따른 유창성 실어증환자의 정보전달능력에 관한 연구
- 형제간 상호작용의 특성
- 동요를 이용한 조음음운치료 사례연구
- 정신지체 고등학생을 위한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Marxism studies Vol.2 No.1 Contents
- 《资本论》中存在开端难题吗?——驳阿瑟的“新辩证法”
- 西方个人本位论及其意识形态变体的分析与反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