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hirography of the Epigraph of the Stone Monurnent in Wolgye-ri, Janggok-myeon, Hongseong-gun, Chungnam Provi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lligraphy of Goun Choi Chiwon-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손환일(Son Hwan il)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4호, 71~1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孤雲遺蹟〉에 대하여 洪思俊.金甲鉉.田玉鎭 두 분의 연구결과가 있었다. 孤雲의 필적은 폭넓은 예가 없어 이렇게 단편적인 예를 들어 분석하기에 는 어려움이 많다- 한 사람의 서체라 하더라도 얼마든지 다른 서체를 구사할 수 있고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 나 글씨는 습관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선각의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고운의 필적인 국보 47호 雙磎寺 〈眞鑑禪師碑〉와 〈傳 孤雲筆跡〉등의 예를 들어 〈월계리금석문〉의 서체를 비교 분석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월계리금석문〉의 명문은 〈龍隱別墅).<龍隱別墅詩>.<雙磎>.<楓嶽>.<玉龍嚴>.<臥龍臺><錦石><碑開詩><枕漱臺><翠屛><石門><龍隱別墅篆><醉石><翠石><龍巖><端凝挺立><月峽>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 그러나 이들 중 〈隨隱別墅詩>.<端凝挺立> 동은 서법이 다르게 보인다. 그러나 일단은 고운의 필적으로 가정하였고. <龍隱別墅篆>.<楓嶽>.<枕漱臺> 등은 소전과 초서로써 예가 없어 거론이 어렵다. 다만 도판을 실어 객관적으로 참고하도록 하였다. 한 글자 안에도 歐陽詢과 顔眞卿.柳公權, 北朝의 서법을 섞어 쓴 혼합체도 있다. 篆書는 傳 孤雲筆의 ‘紅流洞’과 같은 小篆의 서법이다. 특히 해서로 서사된 〈雙磎〉는 歐陽詢·로 專 孤雲筆〈雙溪石門〉의 ‘雙溪‘를, 초서인 〈楓嶽〉은 금강산에 있는 〈蓬萊風嶽元水洞天〉중에서 ‘楓嶽’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月峽〉은 顔眞卿. <龍隱別墅〉는 北朝 書法이다. 이상과 같이 〈월계리금석문〉의 서체는 필획과 결구에서 〈진감선사비〉에 표출 되어있는 안진경.유공권의 필법, 구양순의 필획과 결구, 북조의 필법이 있다. 이런 孤雲 書法의 특징이 〈월계리금석문〉에도 많은 부분이 나타나 있는 점으로 미루어 〈월계리금석문〉의 글씨는 孤雲의 서법과 같은 부류의 筆勢로 비정하여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studies published on the by Hong Sajun, Geum Gabhyeon and Jeon Okjin. Due to the lack of his calligraphic works, it’s very challenging to analyze his chirography only with a single work. The difficulties can further increase since a person could explore his styles freely and adoptdifferent styles for certain periods. This study, however, tried to analyze the chirography of the by Goun based on the idea that his certain calligraphic tendencies would exist an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at was National Treasure No. 47 and in Ssanggye Temple and by Goun as wel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n investigating the , the following epigraphs were consulted; , , , , , , , , , , , , , , , , and . Among them, the epigraphs of and seemed to have different calligraphic styles from the rest but were still assumed to be in line with Goun’s chirography. And , and were difficult to discuss because their Sojeon and cursive style were not found in any other works of Goun. But their plates were included for the purpose of objective reference. There were found some examples of the combination s tyle with the GuYangsun, Ahn Jingyeong, Yu Gonggwon, and the Northern Dynasties 'calligraphy mixed together in one letter. His seal character was the Sojeon that was the same as ’Hongyudong’ in . In particular, the written in the square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was in line of the Gu Yangsun style and the same as the ’Ssanggye’ from the of written in the cursive style was the same as the ’Pungak’from the showed the Ahn Jingyeong and Yu Gonggwon calligraphy from the , Gu Yangsun’s styles in the number of strokes in the calligraphy and the structure, and the calligraphy of the Northern Dynasties. These are, as a matter of fact ,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Goun's chirography and were found a lot in the .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etters of the took the s tyle of Goun’s chirography.
목차
1. 머리말
2. 孤雲 崔致遠 書體의 특징
3. <월계리 금석문> 서체 분석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