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doption and Development of Foreign Calligraphy Styles Found in the Silla Calligraphy of the 5th and the 6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고광의(Ko Kwang Eui)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4호, 38~69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6세기를 전후하여 신라는 주변 국가들과 적극적인 교섭을 통하여 다양한 지역의 書風을 수용하였다. 특히 5세기 고구려와 정치적 隷屬 관계 속에서 고구려 서풍이 신라에 직접적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5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와 交涉이 단절됨으로서 그 동안 신라의 受容된 고구려 서풍은 토착화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6세기 중반의 신라 사회의 自主意識의 高揚과 함께 赤城陣體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6세기 후반 中原의 南北朝 서풍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신라 사회 전반에서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Shilla adopted styles of writings from various regions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its surrounding countries before and after the 6th century In particular. in its political subordination with Goguryeo in the 5th century. the style of writing of Goguryeo was directly introduced to Korea. However. as the connection with Goguryeo was stopped since the middle period of the 5th century. Goguryeo’s writing style accommodated to Shilla was settled and made to Jeokseongbiche with the enhancement of independence in the society of Shill in the middle period of the 6th century. And as writing style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was introduced
since the late of the 6th period. it occupied leading status in the whole society of Shilla.
목차
I. 머리말
II. 新羅의 대외교섭과 외래 書風의 수용
III. 新羅 書風의 전개와 赤城陣體의 형성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