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홍화 염색물의 소재에 따른 색차 연구

이용수  259

영문명
A research on colors of every different material which dyed with safflower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덕실(Rhee, Duck-Sil) 박정례(Park, Jung-Ley)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0집 2권,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홍화의 적색소 추출과 염액의 pH,염색 온도 및 염색 시간을 다르게 하여 섬유소재별 염색성을 분석한 결과 면과 모시의 경우 염색온도 20℃, 40℃, 60℃ 에서모두 540nm, 실크의 경우 염색온도 20℃, 40℃ 에서 520nm, 60℃에서는400nm로 최대흡수파장이 나타났다.셀로로스계섬유인 면과 모시는 적색소만을 주로 흡수는데 비해, 단백질계 섬유인 실크는 적색소와 황색소를 함께 흡수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특히 60℃ 염색온도의 경우 최대흡수파장이 400nm에서 나타난 것은 염색 온도 가 올라가면서 홍화의 적색소가 파괴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홍화 염색의 경우염색 온도는 40℃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60℃에서는 홍화의 적색소가 파괴되면서 탁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액의 pH는 pH 5에 비해산성상태가 강한 pH 3에서 염색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색시간은 면과 모시의 경우 60분 염색에서 염착량이 포화 상태 근처에 이르고 있는 반면, 하브다이의 경우에는 120분 염색시까지 염착량이 크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results from examining the dyeability per fiber materials by differentiating Carthamin extracts from Carthamus tinctorus Linne, pH of dying liquids, and the dying temperature and time, results showed that 540nm was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for 20, 40 and 60℃ dying temperatures for both cotton and hemp cloth, while 520nm was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at 20, 40℃ and 400nm at 60℃ for silk. This seems to be contributed by the fact that while cotton and hemp, which are cellulose-type fabrics, mainly absorb Carthamins; while silk, which are protein-type fabrics, absorb both Carthamins and Safflower yellow. In particular, at dying temperatures of 60℃,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being at 400nm seems to be due to the fact Carthamins and Safflower yellow are destroyed as the dying temperatures rise. In the case of Carthamus tinctorus Linne dye, 40℃ was found to be the optimal dying temperature. Results showed that at 60℃, the Carthamins of Carthamus tinctorus Linne were destroyed and its color became turbid. For the pH of dying liquids, results showed that dying at pH3, which has a stronger acidity compared to pH5, was more desirable. While full saturation of dye was met at approximately 60 minutes for cotton and hemp, the dyeability of Habtai increased sharply for up to 120 minutes of dying, and afterwards, it increased at a steadier rate.

목차

Ⅰ.서론
Ⅱ. 실험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덕실(Rhee, Duck-Sil),박정례(Park, Jung-Ley). (2007).홍화 염색물의 소재에 따른 색차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0 (2), 1-14

MLA

이덕실(Rhee, Duck-Sil),박정례(Park, Jung-Ley). "홍화 염색물의 소재에 따른 색차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0.2(2007):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