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s of Cross by Ages and the Approach by Design for the Popularization of Cross Jewelry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정은현(Chung, eun-hyun) 추원교(Choo, won-gyo)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1집 2권,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십자문양은 인류가 사용한 상징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선이 교차하는 도형이다. 많은 민족과 종족들은 수천년 전부터 나름의 우주관과 세계관, 인생관을 표출하고 또한 자기의 신앙과 종교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본 연구는 십자가 문양이 종교적인 상징으로만 간주되지 않고 비종교인들에게까지도 폭 넓게 다
가 갈 수 있는 장신구의 소재로서, 십자가 장신구를 중심으로 시대적인 형태 변화와 현재 브랜드 디자인을 조사하여 십자가 장신구가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십자문양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태양, 별, 완전함, 영원한 생명력, 방향성 제시 등의 종교적 영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십자가의 기본 형태는 시대별과 지역별 해당 종교와 문화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부가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시기보다는 지역별로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결합되어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나타낸다. 셋째, 대표적 장신구 브랜드의 십자가 장신구는 단순하고 심플한 형태를 중심으로 재료에 따른 색의 변화와 보석을 중심으로 하는 장식의 변화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연령별 고객층에 따라 디자인의 형태를 다르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십자가 문양은 기독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초종교적 차원에서 사용되어졌던 문양이므로 현대인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넘어 인간 본연의 내재적 특정 의미로접근하여 종교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각 지역의 문화 특성에 따라 형태를 새롭게 구성하고 다양화 한다면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서 새롭게 십자가 주얼리 트랜드를 형성하고 대중화 될 수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e cross is one of the oldest symbols used by mankind. The form resul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lines has been used to represent cosmological, terrestrial, andorganic viewpoints as well as regional and spiritual meaning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pularity of jewelry (primarily pendants) incorporating the cross form using a chronological approach to examine early designs and their specific symbolic and religious meanings up to the broad appeal of modern brand name designs. In summary, the result of
the study makes use of three points. First, the form of the cross appeared around 3000 B.C. and is assumed to epresent a symbol for the sun, star, wholeness, and direction in the religious realm. Second, over time, basic cross forms have evolved into a multitude of designs and meanings following regional and cultural additions to the forms. Third, crosses used in jewelry by modern brand name designers consist mainly of minimalist forms
embellish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gem stones in a variety of colors marketed to specific age demographics. In conclusion, the form of the cross has been used not just as an exclusively christian symbol, but also as a universal symbol since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Therefore cross form c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elf-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 as long as the design is visually attractive.
목차
I.. 서 론
II. 십자가의 의미와 상징성
III. 십자가 장신구의 역할 및 형태적 특성
IV. 십자가 장신구 디자인의 대중화를 위한 접근 방안
V. 결론
■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