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이용수 815
- 영문명
- Reading Field of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terrelationship Problem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허재영(Heo, Jae-young)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4권 제1호, 289~3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국어과 교육의 읽기 영역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분야의 상관성을 살피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과교육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같은 언어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교육 대상이나 목적이 다르다는 점에서 많은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궁극적으로 모국어 화자와 같은 한국어 사용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고 할때,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에서는 표준 교육과정의 제정이 시급한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첫째는 표준적인 한국어 읽기 교육과정을 제정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둘째는 기능 중심적인 한국어 읽기 교육을 탈피하여 읽는 능력과 문화 창조 능력을 아울러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수-학습의 원리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는 표준적인 읽기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교재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problems i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ing field's interrelationship. In general terms, it refers to education system of Korea towards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study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se portray certain similarities in regard to
education, however differences in target and reasons for the education varies. The ultimate goal of those who study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s similar to people who learn it as their own. The reading comprehensive component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s in dire need of establishment. In order for us to do that, there are three following possible solutions. Firstly, we must sustain and continue with the effort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process of standardized Korean reading. Secondly, one must digest and master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develop systematic professor-learning principal in order to advance their reading ability and culture creative ability. Thirdly, in terms of the standard Korean reading process, a text book is required for
development furthering of one’s skills.
목차
1. 머리말
2.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비교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들이 독서를 싫어하는가?
- 뉴스기사와 소설을 통한 읽기 교육의 실제
- 북아트를 활용한 독서 교육 사례 연구
-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에 대한 토론문
-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토론문
- 책이 있는 아이들 놀이터, 그 현장에서
- 과연 대한민국의 학교엔 사서교사가 필요한가?
- “유치원에서 실천해 본 책읽기 활동 연구”에 대한 토론
- 독서교육 정책의 방향을 독자교육에서 저자교육으로 바꾸자
-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에 대한 토론문
- 책으로 만난 인연, 상생을 꿈꾸는 아름다운 시작
- 독서교육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
- 뉴스기사와 소설을 통한 읽기 교육의 실제
- 유치원에서 실천해 본 책읽기 활동과 부모의 책읽기 관련 활동에 대한 인식 변화
- 국어과 교육과 한국어 교육의 읽기 영역 상관성 문제
-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 설명문 요약과 이해의 관련성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교육연극
-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