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이용수  542

영문명
Place Identity's Change of Cheonghak-dong Utopia at Jiri Mountain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최원석(Won Suk Choi)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2권 제1호, 130~145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국의 전통적 이상향을 대표하는 지리산 청학동의 장소 정체성이 역사적 과정에서 사회집단에 의해 어떻게 재구성되고 변화되었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고려후기부터 지리산 청학동은 유학자들이나 지역주민들에 의해 선망되었던 仙境地로서 설화적 공간이었지만, 조선 중후기에 민간계층이 부근에 마을들을 이루고 거주하면서 풍수도참의 텍스트로 구축한 勝地村의 생활공간이 되었으며, 현대에 와서는 정부.지자체.주민.관광자본에 의해 이상향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장소마케팅의 전략으로 재구성된 대중문화의 관광공간이 되었다, 역사적 과정에서 리리산 청학동은 사회집단에 의한 공간적 變異가 수반되면서 仙境地.勝地村.觀光地로 장소 정체성이 변화.재구성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historical changes in the place identity of Cheonghak-dong, a prototypical utopian place in Korean tradition, at Mt. Jirisan. It’s place identity was conceived as a fairyland for the Confucian scholars and local dwellers in the beginning. Thereafter it was changed to a place of human habitation(mountain village) based of fengshui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Eventually, recent place marketing strategies have influenced its reconstruction as a popular site for tourism.

목차

1. 머리말
2. 장소 정체성의 역사.사회적 속성과 청학동 이상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석(Won Suk Choi). (2010).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22 (1), 130-145

MLA

최원석(Won Suk Choi). "장소 정체성의 사회적 재구성." 문화역사지리, 22.1(2010): 130-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