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촌 풍스』에서 『어느 미술 애호가의 전시실』까지
이용수 106
- 영문명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정예영(CHUNG Ye Young)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52권, 151~18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e cliscours romanesque sur l’æuvre d’art a évolué au fil des époques. L’æuvre d’art étant au centre de questionnements épistémologiques et ontologiques, son traitement dans la littérature témoigne d'une certaine
esthétique ou philosophie de la représentation. A partir du XXe siècle apparait un thème qui va faire basculer le discours sur l' æuvre d’art vers son lmmananence en tant qu’objet : la collection. En étudiant l’ itinéraire de la collection dans le roman du XIXe au XXe siècle, à travers 4 romans qui nous ont semblé les plus symptomatiques sur cette question, nous nous proposons de retracer le destin des rapports entre signifiant romanesque et objet du monde, autrement dit, celui de la représentation. La collection, phénomène culturel qui a fait rage au l9ième siècle, trouve son représentant fictif en le cousin Pons, héros du roman éponyme de Balzac. Dans ce roman sur la bourgeoisie de la monarch.ie de Juillet, la valeur artistique de l’æuvre d' art est dégradée dans la collection, qui la transforme en fétiche ou en valeur d’echange. Un robinet d'amateur de G
Perec marque l'aboutissement de cette disparition de l'aura, où toute authenticité, toute valeur ou signification de l' æuvre semblent avoir été suspendues. Entre ces deux romans, Bouvard et Pécuchet et Au bonheur des cIames reflètent la confusion de l'æuvre d’art avec les autres objets - déchets ou objets de consommation- , dans un monde où le simulacre a remplacé la réalité, mettant ainsi en crise la représentation. Le texte ludique de Perec débarrasse le signifiant littéraire de sa charge de valeur, d’ongine et d’authenticité, et lui rend sa purete et sa gratuité; celui-ci devient alors l’“objet" littéraire. Mais la survivance de la représentation continuera sans doute de hanter le texte littéraire.
목차
들어가며
1. 『시촌 퐁스』 , 또는 예술 작품의 시물화
2. 『부바르와 페퀴셰』, 『행복 백화점』, 그리고 사실주의 기호의 타락
3. 『어느 미술 애호가의 전시실』: 시뭘라크르의 유희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aleur du mythe comme instrument comparatif
- 노마디즘의 수용상황 분석과 이해
- 『사촌 풍스』에서 『어느 미술 애호가의 전시실』까지
- 보르도 지방 와인의 분류와 샤토chateaux에 관한 고찰
- 장-미셀 아담Jean-Michel Adam의 텍스트 이론
- 바슐라르의 윤리척 상상력과 풍경의 상상학
- 보들레르의 시 "Duellum"의 시니피앙스 분석
- 택스트 분석 및 작문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책 학습적용
- 독립 후(1965-1978) 알제리의 언어.교육정책
- 진리검증 사각형의 유효성 연구
- 19세기 후반 프랑스 문학장에 나타난 파리의 댄디와 플라뇌르
- 위스망스의 『거꾸로A Rebours』에 서술된 런던 여행
-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서간집에 나타난 한 지식인 여성의 담론
- La revanche d'Alain-Fournier
- 그라알 테마에 의한 세 가지 변주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파리Paris시의 도시 문화이미지 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