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서간집에 나타난 한 지식인 여성의 담론
이용수 440
- 영문명
- Les discours d'une femme de lettres dans la correspondance d'Abélard et Héloïse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박혜숙(Park Hae Sook)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52권, 275~3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et article est une analyse sur les idees féministes dans la correspondance d’Abélard et Héloïse. Au premier chapitre, d’abord, on voit brièvement leur histoire d’amour qui était fameux au xrr siècle leur rencontre, leur mariage, la castration d’Abélard, leur séparation et leur correspondance. Et ensuite on voit le processus de la découverte de leur correspondance qui survit miraculeusement dupuis xrr siècle jusqu'a nos jours. Au deu. xième chapitre, la révolte d’Héloïse envers la coutume du mariage est analyée comme les idées férninistes. Ses idées pour la vie célibataire nous font voir son attitude indépendante en tant qu’une femme- sujet qui est totalement libre au regard des autres. Ses idées ont la valeur significative dans la mesure où elles sont les pensees logiques et intellectuelles d’une femme élite au xrr siècle. Au troisième chapitre, on analyse les voeux d'Héloïse pour la vie religieuse et les pensées d’Abélard sur cette affaire au point de vue férniniste. Les voeux d'Héloïse, indubitablement un choix libre par sa propre volonté, nous dévoilent les idées indépendantes d’une femme du moyen âge. Pourtant la confession d’Héloïse en tant qu'une femme de chair
nous fait voir une femme- sujet totalement fidèle à sa propre désire. Le dernier chapitre aborde la capacité acadérnique et intellectuelle d’Héloïse qui lui permet le rôle d'une muse à Abelard. Et l'interprétation d’Abélard sur la Bible, sous l’influence d'Héloïse sans doute, a une grande signification dans la mesure où elle est une interprétation férniniste à l'âge de l' Homme.
목차
들어가며
I. 중세 금단의 사랑: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II. 결혼에 대한 옐로이즈의 담론
III. 주체로서의 삶 수녀 서원
IV. 뮤즈로서의 엘로이즈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Valeur du mythe comme instrument comparatif
- 노마디즘의 수용상황 분석과 이해
- 『사촌 풍스』에서 『어느 미술 애호가의 전시실』까지
- 보르도 지방 와인의 분류와 샤토chateaux에 관한 고찰
- 장-미셀 아담Jean-Michel Adam의 텍스트 이론
- 바슐라르의 윤리척 상상력과 풍경의 상상학
- 보들레르의 시 "Duellum"의 시니피앙스 분석
- 택스트 분석 및 작문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책 학습적용
- 독립 후(1965-1978) 알제리의 언어.교육정책
- 진리검증 사각형의 유효성 연구
- 19세기 후반 프랑스 문학장에 나타난 파리의 댄디와 플라뇌르
- 위스망스의 『거꾸로A Rebours』에 서술된 런던 여행
- 아벨라르와 엘로이즈 서간집에 나타난 한 지식인 여성의 담론
- La revanche d'Alain-Fournier
- 그라알 테마에 의한 세 가지 변주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로마네스크양식과 고딕양식의 연속성(1) - 초기 기독교의 교회당 건축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