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NAEP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이용수 4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Arts NAEP and Implication for the Korea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art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Jihyun Soh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4券 1號, 393~4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주도의 절대 평가인 미국의 국가 교육 성취도 평가(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Progress: NAEP)중 미술 평가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의 미술과 성취도 검사를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국의 NAEP은 1969년 창립되었으며 미술 교과의 평가는 최근 1997년과 2008년에 실시되었다. 1997년과 2008년의 NAEP 미술 평가의 배경과 역사, 평가 체제와 관련된 용어,평가 예시 문항의 분석과 채점기준과 평가결과의 논의를 토대로 미술교육에 끼친 영향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NAEP 미술 평가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의 국가 주도의 미
술과 성취도 검사의 필요성과 실시를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2008 NAEP arts assessment in U.S. measured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in the arts by asking students to observe, describe, analyze, and evaluate existing works of visual art and to create original works of visual art. This study introduces the arts assessment principles, framework, assessment design process, scoring students' work in the arts, reporting arts results, comparisons between 1997 and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results of 1997 and 2008 NAEP arts assessment and to suggest implication for Korea art
educational context. The process of developing assessment design, scoring guides, supervising the assessment procedure in middle schools for the tests is explained. 2008 NAEP arts results inform the public the status of educational progress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 researcher explains the context of the assesment as detailed as possible by providing examples of achievement levels in visual arts. Recent 2009 national curriculum reform by Korean department of Education is to cause art educators to worry about the exclusion of
teaching and assessing visual arts in schools systems. Due to the intense concerns of assessment results for university admissions in Korea, students, educators and parents are very interested in the focus on assessment of reading, writing, mathematics, and Englis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f NAEP and to suggest the possible large scale assessment for Korean students as 2008 NAEP arts have impact on the field of ar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NAEP 미술 평가의 역사
Ⅲ. NAEP 미술 평가의 내용 및 결과 보고
Ⅳ. NAEP 미술 평가가 우리나라의 미술 성취도 평가에주는 시사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 미국 NAEP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 미술교육의 존재 지향적 전개를 위한 탐색(Ⅲ)
- 그림이야기(Draw-A-Story)검사에 의한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판별 연구
- 파트너십에 기반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 반성적 실천을 통한 연구자로서의 미술교사 되어가기 과정에 관한 체험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와 타 교과의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조각보의 문양과 색채를 활용한 초등미술 수업방안 연구
-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 역량
- 뇌에 기반한 심리형성의 메커니즘과 미술의 치료적 의미
-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 다매체 활용을 통한 도서관 내부 벽면디자인 연구
- 미술대학 입시제도의 비판적 고찰과 재개념화
-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 미술의 대중화의 의미와 양상에 관한 고찰
- 창작스튜디오의 교육 프로그램 현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