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이용수 485
- 영문명
- A Study on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through Psychoanalytical Analysis of Art Work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길(Kim, Young-Gil)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4券 1號, 353~39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비교사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분석하는 일은, 그들이 어떻게 현대의 삶과 소통하고, 어떻게 미술작품을 이해하며,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는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작품 제작 과정에서 체득되는 경험들은 순환이 되어 학교현장에 자연스럽게 투영되기 때문에 예비교사의 작업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근본적 실천방안이다. 본 연구자는 5년 동안 수행한 프로젝트학습의 내용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경험과 창의성의 논리를 고찰 하였으며, 적절한 작품분석을 위해서 프로이드와 융의 논리를 제시 하였다. 또한 미술교육 비
평적 측면에서 작품분석을 시도하고 실제적 교수-학습 분석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프로젝트 전 과정에 나타나는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는 일과, 작품의 주제 설정과 제작 동기의 교육 심리적 분석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미술교육 비평의 주된 의미와 역할은 미술교육의 현실을 정확히 통찰하고 교실 안과 밖에서 수행된 교육의 질적, 양적 측면을 철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It could be a crucial clue that criticizing the intrinsic aspect of the student teacher's art works to evolve their own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o grope for cognitive stage: how they communicate with their own
life, how they approach the art in culture and how they get the way of thinking. The analysis of their process of making art works make a considerable impact on creative instruction as an experience to get appropriate adaptation in the art classroom. I analyze the Project-Based Learning which performed for 5-years with
my students in a point of view the Constructivism in art education. I explore the theory of John Dewey's experience and the diverse logic of Creativity to make a clear definition in the category of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 suggest the psychology of Freud and Jung to interpret student teacher's art works evolving authentic teachinglearning methods. Particularly, I am very inspired to criticize the psychological aspect of my student in the procedure of making art works. And also, it is worth analyzing the motivation and exploring the subject matter in the classroom to make a successful project. Therefore,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takes a role of insightful instrument to improve the classroom circumstance inclu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analyz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프로젝트학습의 분석과 정신분석학의 이론적 고찰
Ⅲ. 작품분석의 실제와 미술교육 비평
Ⅳ .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 미국 NAEP 미술 평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 미술교육의 존재 지향적 전개를 위한 탐색(Ⅲ)
- 그림이야기(Draw-A-Story)검사에 의한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판별 연구
- 파트너십에 기반 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구조에 대한 연구
- 반성적 실천을 통한 연구자로서의 미술교사 되어가기 과정에 관한 체험 연구
-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와 타 교과의 통합 교육 방안 연구
- 조각보의 문양과 색채를 활용한 초등미술 수업방안 연구
-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실천 역량
- 뇌에 기반한 심리형성의 메커니즘과 미술의 치료적 의미
-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 다매체 활용을 통한 도서관 내부 벽면디자인 연구
- 미술대학 입시제도의 비판적 고찰과 재개념화
- 반성적 교사: 미술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 모색
- 미술의 대중화의 의미와 양상에 관한 고찰
- 창작스튜디오의 교육 프로그램 현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