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어의 신조어 연구
이용수 309
- 영문명
- Neologism in Russian Language after Perestroika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한용(Han, Yong)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6권 제2호, 119~1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2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뻬레스뜨로이카 이후에 급격히 밀려들어오고 있는 러시아어의 신조어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뻬레스뜨로이카 이전과 이후의 신조어 유입 경로와 구성 방법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뻬레스뜨로이가 이전의 신조어 구성이 대부분 접사 법을 통한 의미 차용의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면, 뻬레스뜨로이카 이후에는 단순한 소리 차용을 통한 신조어 구성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입되는 대부분의 외래어 기원은 영어로서 이들은 음차를 통하여 러시아어 신조어로 만들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의 입장에서 본 영어 기원의 신조어 구성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을 제시하고 영어와 러시아어 자모의 음가를 비교한 소리 대비 표를 함께 마련함으로써 향후 영어 기원의 신조어가 만들어질 때의 기준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Nowadays in Russian language are many neologisms, borrowed from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language. And there are different tendencies to form neologisms between before and after Perestroika. So in this paper at first the general method to form neologism of Russian language is studied. By analysing of neologism after Perestroika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new tendency to form neologism like that: Before the Perestroika as a method to form neologisms are almost used suffixion, prefixion, suffix-prefixion and semantic borrowing. But after Perestroika almost neologisms are formed by method of phonetic borrowing from English language without concrete principles. So in this paper several principles to form neologisms are proposed. And to form neologism by phonetic borrowing are proposed tables of comparing the sound of English alphabets with its of Russian alphabets.
목차
논문 개요
1. 들어가는 말
2. 본 론
3.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Beginning of the typographical era in Poland
- 루마니아어의 라틴성
- 곰브로비츠의 『트란스 아틀란틱』에 나타난 “폴란드 민족성”(polskość)
- 진술의 기능적 분석을 위한 보조적 수단에 관하여
- 헝가리 민간신앙상의 “táltos”(딸또시) 연구
-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보스니아
- 푸쉬킨의 지하 문학세계와 유럽 에로티시즘 문학개관
-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츠의 『작은 저택에서』(W małym dworku)와 이근삼의 『원고지』에 나타난 탈리얼리즘적 표현기법 비교 연구
- 숄로호프의 『고요한 돈 강』에 나타난 인간의 문제
- 폴란드 실증주의 문학, 성공인가 실패인가?
- A Study on Ethnicity in the Baltics after EU Membership
- 파울 고마 연구
- 집시민족의 발칸반도로의 이주 양상과 그것의 언어적 영향
- 러시아어의 신조어 연구
- 헝가리어의 시제와 상
-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 1907-1986)의 작품세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갈등이론으로 본 이라크 쿠르드지역정부 내부분열정치와 도전요인
- 글로벌 콘텐츠 확장 관점에서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 연구: 문화적·서사적 변형과 선호 요인을 중심으로
- 트라우마적 역사에 대한 서사적 회복: 시난 안툰의 소설 『오직 석류나무만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