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reation of Serbocroatian and Language Conflict between Serbs and Croats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권혁재(Hyok-Jae Kwon)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2권 제2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1818 the Serb Vuk Stefanović Karadžić(1787-1864) published a small grammar 《Srpskirječnik》. This event was of great consequence for the Serbs who up to then had written either in a Russianised Church-Slavonic or in "Slavenosrpski". These artifical hybrid languages were genetically related but had different uses and hampered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vernacular for literary purposes. Vuk rebelled against traditional Church Slavonic and "Slavenosrpski" and attempted the popular language (based in što-je dialect) to the common literary language. However, circumstances were different for the Croats. At time of the “Illyrian movement
(1820s)” inspired by Ljudevit Gaj and his associates and under the influence of Romanticism which introduced the cult of nationalism, they proclaimed that the literary language of the Southslav would lead the Southslav people to linguistic and national unity. The culminating point of the effort of Vuk and Illyrian grammarians to create a written language common to all Croats and all Serbs was the "Vienna Literary Agreement" of 1850. At
that time it might have been thought that the way was open for a common Serbo-Croat written language. But national feeling and the spirit of independence grew steadily stronger in Croatia as well as in Serbia. This played a great part in the question of the common language. It must also be said that attempts to reform the language Gaj and Vuk were not pursuing the same end. Vuk’s reform was specifically Serbian and Croat criticised his Serb particularism. This article attempts to objectively compare the different concept of Vuk and Illyrian grammarians which is the cause of language conflict between Serbs and Croa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언어개혁 이전의 언어상황
3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언어개혁운동
4. 맺음말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헝가리 민족의 전통 민간신앙에 나타난 세계관
- 체제 전환 이후 폴란드의 정치 변동 [2] : 1993-1995
- 헝가리 문학에 나타난 유태인 대학살
- 마린 소레스쿠(Marin Sorescu)의 작품세계 연구(1936-1996)
- 1989년 루마니아 혁명 이후 출간된 저널리즘 텍스트를 통한 루마니아 시대상 연구
- 야로슬라브 사이페르뜨의 후기 문학의 특징
- Our Contemporary Karel Čapek
- 프루스(B. Prus)의 회심자(Nawrocony)와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A Christmas Carol) 비교 연구
- 루마니아어 음운 현상에 관한 통시적 연구
- 루마니아 양차세계대전 동안의 문학(2)
- 연대노조의 흥망성쇠와 폴란드 정치변동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탄생과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의 표준어논쟁
- 체코 시 연구 II
-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Hungary in the New Millenium
- 동유럽지역에 대한 해외홍보정책 활성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용인 고려백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 창출 - 용인시와 일본 카사마시를 중심으로
- 지역성의 발명 - 성남시 사랑방문화클럽 사례를 통한 지역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경기지역학연구 제12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