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amining the Maintenance Mechanism of Perpetuated Hostilities between India and Pakistan : Failure of Negotiated and Battlefield Solutions and Rivalry Maintenance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 저자명
- 유재광(Chaekwang You)
- 간행물 정보
- 『국가와 정치』제31집 2호, 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남아시아의 숙적 인도와 파키스탄이 또다시 충돌하고 있다. 2025년 5월 카슈미르 지역의 관광객에 대한 테러의 배후로 인도가 파키스탄을 배후로 지목하면서 모디(Narendra Modi) 총리는 전군에 동원령을 내리며 대규모 공습을 감행하고 있고 파키스탄 역시 공중전으로 맞대응하면서 양국의 군사적 대결은 전면전 위기로 치닫고 있다. 1947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지속되어 온 양국의 군사적 적대관계는 수많은 화해 노력에도 불구하고 왜 수십 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변하기 위해 국제정치학의 숙적 관계 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rivalries)을 배경으로 이중 실패 모델(double failure model)을 제안한다. 본 모델의 핵심 주장은 인도-파키스탄과 같은 숙적 관계는 두 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지속된다는 것인데 첫 번째는 군사적 해결의 실패(failure of battlefield solution) 이며 두 번째는 협상을 통한 해결의 실패(failure of negotiated solution)가 그것이다. 양국이 숙적 관계를 군사적으로 해결하려 할 때는 이들과 직 ·간접적으로 안보 연계를 맺고 있는 강대국이 개입하여 해결을 어렵게 하며 이들이 협상을 통해 적대관계를 해결하려 할 때는 국내 정치의 강경파 반대자(hard-line veto players)가 개입하여 해결을 방해하여 숙적 관계를 지속되도록 한다는 것이 모델의 핵심 주장이다. 이 이론적 주장을 인도 파키스탄간 숙적 관계 지속(1947~2025) 사례연구를 통해 검증해 보고 사례연구가 이 주장을 경험적으로 지지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요약과 함께 연구가 향후 숙적 관계 연구에 제공하는 함의를 밝히면서 마무리한다.
영문 초록
India and Pakistan, an archetypical rivalry in South Asia, clash against each other. After identifying Pakistan as a culprit of terrorist attack on tourists on Indian tourist site, the Modi government has conducted multiple airstrikes against Pakistan with a full military mobilization which in turn induces Pakistan’s similar responses against India. The paper asks a simple question of why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Pakistan has been so enduring? To answer the question, the paper proposes the so-called double failure model in which a rivalry maintenance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a failure of military-and negotiated solution. Rival leaders often try to end costly rival relations at battlefields. But the rivals engaged in battles fail to resolve their hostilities by military means largely because of the interventions of great powers which form security ties with them. Fearing that the military disputes between the rivals might escalate into a major war in which the powers must intervene, the powers step in and push the rivals to display self-restraint which result in the failure of battlefield solution. Leaders in the rivalries often bring the issue of rivalry termination into negotiation tables. Sobering effect from military disputes and structural shocks open a window of opportunities through which rivals resolve their hostilities at negotiation tables. But the rivalries are inclined to fail to end the hostilities because hard-line veto players at home are prompted to prevent their leaders from negotiating any compromise with their enemies at the tables. Taken together, the model postulates that rivalries persist through the failures of military and negotiated solution. To demonstrate this argument, the paper conducts a crucial case study of the persistence of India-Pakistan rivalry(1947-2025) and finds that the study lends a strong support for the argument. The paper concludes by offering a short summary and highlighting an avenue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인도 파키스탄 숙적 관계 지속에 관한 연구
Ⅲ. 분석 틀: 이중 실패 모델
Ⅳ. 방법론 및 경험적 증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