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u bout de의 다의성과 의미 전이
이용수 45
- 영문명
- Polysémie d'au bout de : l'espace au temps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노윤채(NHO, Yuncha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51권, 29~5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e travail vise à traiter la polysémie du lexème au bout de et d'expliciter la relaton entre son sens spatial et son sens temporel à l'aide du concept de la grammaticalisation et de transl et métaphe dque Selon nous, au bout de compte environ 9 sens en tout dans quatre domaines sémantiques (objet, lieu, abstrait, temps) et à chacun d'eux correspondraient autant de phases de l'é, lution de la signification de lexème De manière parallèle, cette é, lution de sens nous semble accompagnée d'un chan'ument du statut grammatical, an e, d'un syntagme prépositionnel en une locution prépositive Quant à la relation lcept de que et cornitive entre le domaine de l'espace et le domaine du temps, tout en admettant la primauté de l'espace et le domaine du temps, tout en admettant la primauté de l'espace sur le temps, nous méttatons tout de même, au cours de l'emplyse déau bout de et des expressions prépositionnelles vt dines qt sont aussi polysémiques, qte le chan'ument de l'mploi d'un mti se pacdt t de facon variée et complexe suivant la phase de l'é, lution, qt'il y un métinuum un entre toutes les phases n enfin qu'il est possible que le sens temporel aussi exerce une influence partielle au sens spatial
목차
1. 서론
2. au bout de의 의미 분류
3. 유사 어휘소와의 비교
4. 공간과 시간
5. 융법 진화의 도식
6. 결론
참고문헌
Résum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크 레다의 시에 나타난 탈경계 의식 연구
- 프랑스어 수업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시청각 교수법
- 몽테뉴의 종교관에 관한 연구
- 성장하지 않는 자아의 성장 소설
- 프랑스 거리예술의 기원과 탄생에 관한 연구
- 베케트의 Fin de partie 연구
- 프랑스학회 회칙 외
- 18-19세기 프랑스 공화국의 알레고리와 여성 유방의 정치화
- 프랑스공화정과 문화정책
- 새로운 퍼즐 만들기, 『인생사용법 La vie mode d'emploi』의 번역
- 프랑스의 문화상품 대형유통업체 프낙Fnac의 문화전략
- Sur les certaines strategies de deconstruction pour echapper a la metaphysique traditionnelle
- L'autoportrait comme autre-portrait
- 담화유형에 따른 담화 처리양상의 다양성 고찰의 필요성
- au bout de의 다의성과 의미 전이
- 프랑스 문화정책에서의 미디어정책의 위치와 역할
- 디지털 문화유산, 하이퍼링크 그리고 문화민주화
- 프랑스의 'X등급' 영화 심의 제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로마네스크양식과 고딕양식의 연속성(1) - 초기 기독교의 교회당 건축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