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洪性和 (홍성화)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13輯, 489~5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Baekje (百濟) and Japan (倭) in the ancient 4~5th century by a study on Jinku-ki (神功紀) and Oojin-ki (應神紀) in Ilbonseogi (日本書紀) based on Inscription of King Kwanggaeto (廣開土王碑文).
First of all, as we analyzed occurrences during 396~407 A.D. described on Inscription of King Kwanggaeto (廣開土王碑文), we could understand that Japan dispatched an army to Baekje (百濟) during the war between Baekje (百濟) and Koguryo (高句麗) in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Japan’s leading role under those circumstances of the battles.
Also, we could find out that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七枝刀), which Baekje (百濟) presented to a superior Japan (倭) in 372 A.D. written in Jinku-ki (神功紀) of Ilbonseogi (日本書紀), had made in Baekje (百濟) during the war between Baekje (百濟) and Koguryo (高句麗) in the Korean peninsula in 408 A.D. and was granted to Japanese King (倭王) when we studied Chinese characters carved on the Seven-Branched Sword (Chiljido, 七支刀).
Especially, authors of Ilbonseogi (日本書紀) didn’t describe properly the truth that Japan dispatched an army to Baekje (百濟) in Oojin-ki (應神紀) of Ilbonseogi (日本書紀), which was written contemporaneously with Inscription of King Kwanggaeto (廣開土王碑文), and fabricated as the conques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by Japan (三韓征伐) in Jinku-ki (神功紀) of Ilbonseogi (日本書紀).
Therefore, compared Jinku-ki (神功紀) and Oojin-ki (應神紀) in Ilbonseogi (日本書紀) with the Inscription of King Kwanggaeto (廣開土王碑文), we could understand that Japan’s military aid to Baekje (百濟) in the ancient 4~5th century was distorted to the conquest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三韓征伐) by Japan and that the distortion was a matrix of the argument that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was ruled by Yamato government written in Ilbonseogi (日本書紀).
목차
Abstract
Ⅰ.머리말
Ⅱ.高句麗와 百濟의 전투
Ⅲ. 日本書紀 神功,應神紀에 나타난 전투의 실상
Ⅳ.神功紀 삼한정벌의 의미
Ⅴ.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日本語 名詞表現을 통해 본 名詞의 動詞性
- 문학의 콘텐츠화 전략 연구
- 『日本硏究』 投稿規定 외
- 대중문학 형성기에 있어서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의 문학관
- 근현대에 있어서의 접사적 자음형태소의 변천의 일례
- 청일전쟁기, 열강과 일본의 중국침탈
- 아키나리(秋成)의 문학관
- 식민지 조선에서의 도한일본여성의 현실
- 古代 女性天皇論
- 재일한국인·조선인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한일 안보협력의 새로운 모색
- 김수미 저 『겐지모노가타리 공간표현론』
- 특별기고 집필자 프로필
- 『두 가지 색도(色道)』의 시대
- 에도문학의 다양성
- 재일 한국인의 의식에 관한 연구
- 근세 전기의 괴이소설(怪異小說)과 웃음(笑い)
- 미쓰모토 겐 저 『가나조시(仮名草子)의 모노가타리(物語)』
- 廣開土王碑文을 통한 『日本書紀』 神功, 應神紀의 분석
- 일본연구센터 동정(2008.9.1∼2009.2.28) 외
- 複合辞に関する史的硏究
- 모노가타리 집(物語集)으로서의 『쓰즈라부미(藤루冊子)』
- 일본대학의 국제화를 위한 외국인 교원임용
- 아키나리(秋成)의 ‘거짓(僞り)’의 문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