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사 ‘순전’의 의미 고찰
이용수 83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Meanings of ‘Sunjeon’ : Concerning the Category of Sino-Korean root forms and 'Sunjeonhada and Sunjeonhi'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신은수(Shin Eunsu)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1輯, 43~86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Sunjeon', which is the root form of the adjective form 'Sunjeonhada', as an independent two-syllable Korean adverb, and to examine its lexical meanings. First of all, this paper researches how two-syllable Sino-Korean roots from the adjective form of 'X-hada' are categorized, and how 'Bunmyeong' that has the same trace as 'Sunjeon' is classified. This paper addresses the various meanings of 'Sunjeonhada' and 'Sunjeonhi' respectively in diachronic linguistics.
'Sunjeon' is the '-hi' omitted form of 'Sunjeonhi', the adverb form which is derived from 'Sunjeonhada'. 'Sunjeonhada' means 'purity or completeness' and 'only N, or all N'. Originally, 'Sunjeonhi' had the meanings of 'purity or completeness' and 'only N/VP or all N/VP'. Meanwhile, 'Sunjeonhi' as 'purity or completeness' has not been spoken since the latter 20th century.
Compared to 'Sunjeonhi', 'Sunjeon' takes meanings of 'only N/VP or all N/VP'. 'Sunjeon' is widely used in spoken Korean.
목차
1. 머리말
2. 한자어 어근의 범주화 문제
3. ‘순전’의 분포 지역과 출현 시기
4. ‘순전’의 의미
5. ‘순전하다’와 ‘순전히’의 의미 변화
6. ‘순전’과 ‘순전히’의 차이
7.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한중 상징어 대조 연구
- ㅸ>w 변화와 w의 음운론적 성격
- <바리공주> 무가의 교육적 의의와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
- 1950년대 전쟁기 문학과 제주의 지역성
- TOPIK 읽기 영역 지문의 난이도와 균질성에 관한 통사론적 접근
- 훼손된 원형과 비인탄생
- 부사 ‘순전’의 의미 고찰
- ‘히스테리’ 문화 현상을 통해 본 현대시의 양상
- 이인칭 소설의 창작유형 연구
- 황매천의 중국 절의지사에 대한 지향
- 玩易堂 朴馨德의 시문에 투영된 實情과 교화의식
- 해방기 배인철의 흑인시 연구
- 풍물굿 연구 담론의 재조명
-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시종 연구
- ‘狹’ 계열 地名의 形成과 意味
- 유아의 연령별·성별 보조사 사용에 관한 연구
- 기행가사를 통한 자아 발견 글쓰기
- 광고문구에 나타난 외래어의 양상과 언어의식
- 다문화 가정 구성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