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편마비 환자에서의 견관절 아탈구 진단에 유용한 촬영법
이용수 183
- 영문명
- Radiological Projection for Diagnosis of Shoulder Subluxa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legia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조광호(Kwang-ho Cho) 강영한(Yeong-han K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2권 제3호, 253~25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 편마비 환자에 있어 견구 아탈구 진당에 유용한 촬영법을 알아보고, 편마비 상태를 고려한 촬영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중 마비측 견관절 부위의 견봉 끝과 상완골두 사이가 1 수지폭 이상인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견관절 전후방향촬영은 누운 자세와 앉은 자세의 영상을 비교하였고, 흉곽을 통한 상완골 측방향 촬영은 앉은 자세에서 건측과 환측의 영상을 비교하였다. 축방향 촬영은 누운 자세에서 건측과 환측을 비교하였고, 상완골두의 중심, 관절와의 중심, 견봉의 최하외측단의 3가지 기준점으로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비교 분선(t-test)을 시향하였다.
연구결과 : 대상자를 누운 자세에서 앉히고 견관절 자연지위를 취한 후 견관절 아탈구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평균 123초였다. 견관절 전후 방향 촬영에서 상완골두의 중앙점과 견봉의 최하외점과의 거리가 누운 자세에서는 평균 49.90±13.6mm이었고, 앉은 자세에서는 60.72±16.3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흉곽을 통한 측방향 촬영에서는 환측 36.92±6.2mm, 건측 28.76±5.4mm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누운 자세의 견관절 축방향 촬용에서는 건측과 환측 각각 23.01±9.1mm, 22.45±8.2m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견관절 아탈구 진단을 위한 견관절 촬영은 촬영 전 수지폭 검사를 통해 아탈구가 진행됨을 확인한 후 촬영을 하여한 진단적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해 앉은 자세에서 견관절 자연지위로 120초 지난 후 촬영을 하여야 한다. 또한 견관절 전후방향 영상과 흉곽을 통해 측방향 촬영은 아탈구를 평가하는데 유효하였고, 견관절 축방향에서는 아탈구의 차이가 없으므로 진단적 가치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useful radiological projection of shoulder subluxa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legia.
Methods : A total of 33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legia were included(20 men and 13 women, mean age 62.3 years) and having the subluxed shoulder over one finger breath. The shoulder subluxation was determined as the ratio of the radiographic vertical and horizontal distance. The vertical distanc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ost inferolateral point of the acromion and the central point of the humeral head. The horizontal distanc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oint of the glenoid fossa and the central point of the humeral head. To measure of the shoulder subluxation, the shoulder AP, axial and transthoracic lateral projections were taken on both affected and unaffected shoulders.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subluxation distance by t-test.
Results : When patients was in sitting position, the average time of being shoulder subluxation was 123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pine(49.90±13.6mm) and sitting position(60.72±16.3mm) in the vertical distance of shoulder anterior-posterior projection.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ransthoracic lateral projections, Affected 35.92±6.2mm, Unaffected 28.76±5.4mm. But in case of shoulder axial projection(supine 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Unaffected and affected was 23.01±9.0mm, 22.45±8.2mm each).
Conclusion : Radiological projection of shoulder subluxation has diagnostic value when in goes after check out the process of subluxation through finger breadth test. For this, patients must be in sitting and shoulder neutral position about 2 minutes. In addition, Shoulder anterior-posterior and transthoracic projection were significant to diagnose subluxation, But in axial projection, there wasn't meaningful differenc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심영역 변화에 따른 하악골 골밀도 측정에 대한 연구
-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의 연관성
- 초점/필터에 따른 유방 압박 두께와 평균 유선 선량의 관계
- 제주지역 노인의 담낭결석 유병률 및 위험요인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 발급 표준 업무절차 개발연구
- 초음파 영상에서 동적영역과 주파수 방식의 설정에 따른 효과
- CT 검사에서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수정체의 비스무트 차폐 효과
- 편마비 환자에서의 견관절 아탈구 진단에 유용한 촬영법
- 64채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관상동맥검사의 선량
- 뇌종양의 등급분류를 위한 관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투과성영상(Permeability Map)의 유용성 평가
- 대한방사선과학회 정관 외
- 뇌의 확산강조 영상에서 b-value의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 현성확산계수에 관한 비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