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allstones Risk Factor and Prevalence in the Elderly in Jeju Island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심현선(Hyun-Sun Sim) 최준락(Joon-Lock Choi) 박재진(Jea-Jin Park) 이수연(Su-Yron Lee) 이지민(Ji-Min Lee) 정홍량(Hong-Ryang Jung) 임청환(Chung-Hwan Lim) 김정구(Jung-Gu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2권 제3호, 293~29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목벅 : 담낭결섣은 담도계의 가장 흔한 질환이며 급성복통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담낭결석으로 인한 담낭염이 자주 발생하고 담낭암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담낭결석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7월 한 달 동안 제주도 10곳에서 60세 이상 노인의 남자 297명, 여자 529명 총 8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신장, 체중을 측정하고 혈액검사와 상복부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T-test, chi-square test로 검정하여 p<0.05 이하일 경우 유의한 결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담낭결석 유병률은 5.9(49/826명)이었다. 남성은 6.1%, 여성은 5.8%로 남성이 여성보다 1.03배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70~74세에서 8.0%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담낭결석 집단에서 과체중 이상이 69.3%로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7).
결 론 : 연령의 증가에 따라 담낭결석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비만은 담낭결석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적절한 체중 관리와 식이조절을 한다면 어느 정도 담낭결석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Background/aim : Gallbladder stone is the most common disease of biliary tract. It is lead to acute abdominal pain. The cholecystitis which is caused by in gallbladder stone occurs frequently and the possibility of the gallbladder cancer comes to be high. Our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gallbladder stone in a population who community.
Materials and Methods : We enrolled a total of 826 (male : 297, female : 529) persons who 60 or older in Jeju-do 10 places from 2008 July one months. The height, weight, liver function tests, lipid profile, fasting blood sugar, were all measurement. They had their gallbladder examined with using ultrasonography.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a p-value less than 0.05.
Results : Among 826 persons, gallbladder stone was found in 49 persons (5.9%), The male is 6.1% and the female is 5.8%m the male 1.03 times appeared more highly the female. The body mass index above of 23.0kg/㎡ with the gallbladder stone was 69.3% (p<0.047).
Conclusion : The gallbladder stone appeared highly according to age increases. The obesity is the risk factor of gallbladder stone. The weight management and diet control is a possibility of reducing a gallbladder stone cre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심영역 변화에 따른 하악골 골밀도 측정에 대한 연구
- 제주지역 노인의 담낭결석 유병률 및 위험요인
- CT 검사에서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수정체의 비스무트 차폐 효과
- 64채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관상동맥검사의 선량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 발급 표준 업무절차 개발연구
- 뇌종양의 등급분류를 위한 관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투과성영상(Permeability Map)의 유용성 평가
- 초점/필터에 따른 유방 압박 두께와 평균 유선 선량의 관계
- 초음파 영상에서 동적영역과 주파수 방식의 설정에 따른 효과
- 뇌의 확산강조 영상에서 b-value의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 현성확산계수에 관한 비교 분석
-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의 연관성
- 편마비 환자에서의 견관절 아탈구 진단에 유용한 촬영법
- 대한방사선과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사 맞춤형 조영제 정맥주사 교육과정 개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재구성 알고리즘과 Butterworth 필터 차단 주파수가 핵의학 영상 화질에 미치는 영향: Prominence Processor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 합성곱 블록 주의 모듈과 U-Net을 활용한 CT 영상 노이즈 제거 기법
- 요오드 조영제 자동 주입 시 외부 가온기 사용이 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