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열성 경련과 경도의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의 임상적 고찰
이용수 71
- 영문명
- Febrile Seizures and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 in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윤서희(Seo Hee Yoon) 안승희(Seung Hee Ahn) 김황민(Hwang Min Kim) 이해용(Hae Yong Lee) 임백근(Baek Keun Lee) 차병호(Byung Ho Cha)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6권 제2호, 130~13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열성 경련과 경도의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은 소아 연령에서 흔한 신경학적 질환이다. 두 질환의 특성이 서로 비슷하지만 임상 양상 및 예후에 차이가 있다. 본 저자들은 소아의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열성 경련 및 경도의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과 급성 위장관염 외의 원인에 의한 열성 경련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 소아청소년과에 2004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입원 치료한 3개월에서 5세사이의 열성경련 및 양성 경련에 해당하는 569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 하였다. 원인에 따라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열성 경련군(A), 경도의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군(B), 급성 위장관염 외의 원인에 의한 열성 경련군(C)으로 분류하여 각 경련군 간에 임상적 특성과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의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28.95±13.25개월이었으며, 평균연령은 A군; 1.51±1.10세, B군; 1.14±0.44세, C군; 1.84±1.33세였고 B와 C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각 군에서 성비의 차이는 없었으며(남녀비; A; 0.83:1, B;0.86:1, C; 1.2:1), 가장 흔한 경련의 종류는 전신성 경련이었다(A; 94.5%, B; 100%, C; 94.8%). 24시간 내 경련의 재발 빈도는 A; 1.53±0.88, B; 2.12±1.35, C;1.23±1.11회였고, B군이 A, C군보다 재발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경련 지속시간은 세 경련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부모님이 열성경련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C군(17.8%)에서 A군(14.5%)이나 B군(4.3%)보다 더 많았다(P<0.05). 평균 말초혈액백혈구 수는 C군(12,932±5,866 mmol/L)에서 A군(10,532±5,151 mmol/L)과 B군(8,686±3,053 mmol/L)보다 더 많았다(P<0.001). 그러나 평균 혈청 나트륨 수치, 비정상적인 신경 발달상태와 이상 뇌파 소견, 신경 영상 검사상 이상 소견의 빈도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로타바이러스 항원 양성은 A군(45.7%)과 B군(42.6%)에서 C군(14.5%)보다 더 빈도가 높았다 (P<0.05). 첫 경련 이후 열성 경련의 재발이 일어난 경우는 A; 9.1%, B;5.8%, C; 11.9%였으며, 첫 경련이후 비유발성 경련으로 재발이 일어난 경우는 A; 5.4%, B; 1.4%, C;1.6%이었다.
결 론 :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열성 경련, 경도의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 급성 위장관염 이외의 원인에 의한 열성 경련 사이에는 발병 연령, 24시간 내 반복 경련의 재발 빈도, 열성 경련의 가족력, 말초 혈액내 백혈구 수 및 로타바이러스 양성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세 군 모두에서 첫 경련 후에 비유발성 경련의 발현율은 낮아 그 예후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양성 경련과 급성 위장관염에 의한 열성 경련의 경우에 24시간 내에 경련의 재발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런 환아가 내원할 경우에 급성기 경련의 재발을 위한 처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많은 경우는 아니지만 비유발성 경련이나 열성 경련의 재발에 대해 보호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Febrile Seizures and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BCwMG) are common neurological disorders in children. We would like to kno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febrile seizure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A), BCwMG(B) and febrile seizure associated with a febrile illness not caused by acute gastroenteritis(C) in childre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69 pediatric patients aged from 3 months to 5 years that admitted to the Wonju Christian Hospital from 2004 to 2007 for febrile seizures or BCwMG.
Results : The mean ages were A; 1.51±1.10 years, B; 1.14±0.44 years, C; 1.84±1.33 years. The most common seizure type was generalized seizure(95.4%). The average frequency of seizure was higher in B than A and C(A; 1.53±0.88, B; 2.12±1.35, C; 1.23±1.11 times/day, P<0.001). The incidence of positive parents history for febrile seizures was higher in A and C compared to B(A; 14.5%, B; 4.3%, C; 17.8%, P<0.05). The mean WBC count in peripheral blood was higher in C than A and B(A; 10,532±5,151, B; 8,686±3,053, C; 12,932±5,866 mmol/L, P<0.001). The positive rate of stool rotavirus antigen test was higher in A and B compared to C(A: 45.7%, B: 42.6%, C: 14.5%, P<0.05).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x ratio, duration of seizures, serum sodium level, abnormal neurodevelopmental status, rate of EEG and neuroimaging abnormalities among three groups. The recurrence rate of febrile seizure after the 1st seizure was A; 9.1%, B; 5.8%, C; 11.9%
and unprovoked seizure was A; 5.4%, B; 1.4%, C; 1.6%.
Conclusion : We consider prophylactic short term management of recurrent episodes of seizures within 24 hours, especially in febrile seizure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and BCwMG.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educate parents about the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or unprovoked seizures, although the risk is low.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복부 통증이나 압통을 동반한 일차성 두통 환아들의 임상 양상
- 급성 양측성 중심 망막 동맥 폐쇄를 동반한 시신경 척수염 1례
- 소아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치료 중 발생한 경련의 임상 양상과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열성경련과 열성경련플러스(GEFS+)에서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SNP 6265의 다형성
- 소아 열성 경련과 경도의 위장관염을 동반한 양성 경련의 임상적 고찰
- A Case of Symptomatic Neurocutaneous Melanosis Associated with the Dandy Walker Complex and Excellent Response of Seizures to Topiramate
- 소아에서 발생한 연쇄구균 감염 후 사구체 신염에 의한 가역성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 1례
- A Case of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Presenting with Bilateral Optic Neuritis associated with Mycoplasma pneumoniae
- 반구절단술 시행받은 난치성 소아간질환자들의 임상적 고찰 및 술후 성적
- 기능성 조음장애아의 임상적 고찰
- 만성 두통 환아의 진단적 접근에 있어 어지럼증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연구
- 소아 환자에서 척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요추천자 깊이의 예측
- 소아에서 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감염에 동반된 신경계 합병증에 대한 고찰
- 비측두엽 소아 간질 환자의 수술 결과
- 산전초음파에서 심장결절이 확인된 결절성 경화증 2례
- 소아 만성 두통 환자에서의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결과 분석
- 간질을 동반하는 신경질환에서 염증반응의 역할
- 소아에서의 일차두통에 대한 자연 경과
- 소아에서 Oxcarbazepine과 Carbamazepine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KCNQ2-Related Epilepsy: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 Korea
- Rett-Like Phenotype in a Patient with a Novel Pathogenic FBXW7 Variant
- Neuroleptospirosis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Rare Case Re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