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아 만성 두통 환자에서의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결과 분석

이용수  24

영문명
Brai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n Children with Chronic Headache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김승(Seung Kim) 이재랑(Jae Rang Lee) 윤춘식(Choon Sik Yoon) 이영목(Young-Mock Lee) 이준수(Young-Mock Lee) 김흥동(Heung Dong Kim)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6권 제2호, 175~181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 두통은 소아 인구에서 매우 흔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환으로, 이의 발생 기전에 대하여 많은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저자들은 뇌 MRA를 통해 만성 두통 소아 환아에서 뇌혈관 이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만성 두통을 주소로 내원한 320명의 소아 환자 중 1달에 15일 이상, 3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어 만성 매일 두통의 진단에 부합되는 환아 중에서 1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 뇌 MRI 및 MRA를 시행하였으며, 정상뇌 MRI 소견을 보였던 44명 환자의 뇌 MRA 결과 및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뇌 MRA를 시행한 총 환자수는 44명이었으며. 그 중 8명(18.2%)에서 뇌혈관의 이상 소견이 발견되었다. 이상 뇌혈관 소견에는 편측 A1 형성저하 5례(11.4%), 편측 A1과 P1 형성저하 1례(2.3%), 편측 척추동맥 형성저하 1례(2.3%), 모야모야병 1례(2.3%)가 있었다. 44명의 환자 중 21명은 두통만을 호소한 환아였고, 나머지 23명은 두통과 함께 다른 신경학적 증상을 호소하는 환아였는데, 이 두 군 사이에 뇌 MRA 이상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 론 : 소아 만성 두통 환아에서의 뇌혈관 이상 소견이 병인 가능성과 위험 요소로 제시될 수 있으며, 성인으로 성장하는 장기적인 과정에서 뇌혈관 변이와 신경학적 증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Headaches occur frequently in the pediatric populatio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Several mechanisms are currently thought to contribute to headache pathogenesis.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chronic headache in children and cerebral vascular anomaly by performing brai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MRA).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MRA of 44 patients with chronic headache who visited the pediatric clinic of Young Dong Severance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08. Results : The number of enrolled patients was 44. Eight(18.2%) of them showed abnormal brain MRA findings. Abnormal findings included 5 cases of unilateral A1 hypoplasia, 1 case of unilateral vertebral artery hypoplasia, 1 case of unilateral A1 and P1 hypoplasia, 1 case of Moyamoya disease. Among the 44 patients, 21 had complained only headache and 23 had complained other neurological symptoms with headache. The ratio of abnormal MRA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 Vascular anomaly could be a possible pathogenesis and risk factor in chronic headache in children. Further investigation and long term follow up is needed.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Seung Kim),이재랑(Jae Rang Lee),윤춘식(Choon Sik Yoon),이영목(Young-Mock Lee),이준수(Young-Mock Lee),김흥동(Heung Dong Kim). (2008).소아 만성 두통 환자에서의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결과 분석.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6 (2), 175-181

MLA

김승(Seung Kim),이재랑(Jae Rang Lee),윤춘식(Choon Sik Yoon),이영목(Young-Mock Lee),이준수(Young-Mock Lee),김흥동(Heung Dong Kim). "소아 만성 두통 환자에서의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결과 분석."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6.2(2008): 175-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