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88
- 영문명
-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for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창호(Kim Changho) 백은희(Paik Eunhee) 박민휘(Park Minhwi) Wungu Esti(Esti Wung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3호, 193~2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3,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문제 행동을 나타내는 전공과 정신지체 학생에게 행동에 대한 기능적 평가를 실시하고 환경사건 중재, 선행 사건 중재, 대안 행동 교수 중재와 결과행동 중재를 하였다. 연구 설계법으로는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학교 및 가정에서의 대상 학생의 문제 행동 감소에 비교적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s of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school. The target behaviors were slapping either his own face or head, out of seat behavior during computer class, and masturbation (touching his genital organ) during his free time at home.
Th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led to the hypotheses for problem behaviors in natural context like computer class at school and leisure time at home.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setting event, antecedent, alternative behavior, and consequence behavior intervention were designed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The frequency of student’s problem behavior was measured using interval reco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frequency of slapping and getting out of seat behavior in computer class at school
Secondly,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helped th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to reduce the frequency of problem behavior at home.
Follow up studies were recommended with different categories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for generalization of PBS interven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미술수업에서 학습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 특수학교 현장관찰실습 교과 운영에 도입된 수퍼바이저제도의 효과성 연구
- 한국 장애인 차별금지정책 형성과 결정과정 분석연구
- 발달장애 특수학교(급)의 컴퓨터 활용 현황 및 요구 조사
- 통합어린이집에서의 언어치료 지원내용 및 지원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인관 연구
- 표본화 비율과 신호 대 소음 비율(SNR)이 감음신경성 청각장애학생의 어음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비교
- 희귀질환을 가진 중증장애학생의 교육적 고려 실태 및 지원방안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 학습장애 진단의 대안적 통합모형에 대한 의사결정나무 기법의 활용 가능성 탐색
-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 특수교육 인사제도 경향분석과 전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