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유명사의 한정에 대하여
이용수 157
- 영문명
- La dé termination du nom propre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김언자(KIM, Eun-Ja)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46권, 85~10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n considère en général que le nom propre désigne directement un objet sans passer par un signifié. Et son réfé rent é tant supposé unque au monde, il n'a besoin d'aucune détermination.
Dans nos activités langagières, on observe cependant de nombreux cas ou le nom propre apparaît avec un déterminant. Nous avons voulu analyser ces emplois de noms propres accompagnés d'articles et dotés d'une signification dans les énoncés.
Nous les avons divisés en trois catégories : 1) les noms propres qui désignent leur référent originaire ; 2) les antonomases ; 3) les métonymes. Dans chaque cas, nous avons essayé d'expliquer, dans le cadre de la théorie d'énonciation, le processus de ‘communisation’, qui se résume en gros de la manière suivante :
i) L' énonciateur dé gage de X certains traits sémantiques avec lesquels il forme la notion / être X/.
ii) L' énonciateur construit des occurrences individuelles a partir du type par excellence de la notion / être X/, ce qui donne le domaine notionnel. Selon la distance par rapport au centre du domaine, on peut exprimer des degrés de ‘propriété ’ (‘vrai’, ‘très’ , ‘un peu’, ‘presque’, etc.).
iii) Le domaine notionnel se construit selon les modalités /discret/, /dense/ ou /compact/.
iv) L' énonciateur effectue dans le domaine notionnel des opérations de quantification/qualification qui se repè rent par les articles.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유명사의 다양한 쓰임새
Ⅲ. 한정작용을 통한 고유명사의 보통명사화
Ⅳ. 한정사를 수반한 고유명사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랑스학회 회칙 외
- 보리스 비앙의 『적초』에 나타난 자아 탐구
- L'émergence de l'économie solidaire
- 『이방인』 에 나타난 두 가지 서술전략
- 크레티엥 드 트르와의 소설 속 전투장면을 통해 본 기사도의 윤리 고찰
- 앙드레 말로의 『인간의 조건』 : 노장 철학에 따른 해체적 독서 II
- 프랑스어로 번역된 한국소설에 있어 번역본 간의 차이에 관한 연구
- 고유명사의 한정에 대하여
- 『인간조건』에서 시각적 묘사의 회화성
- 영화 「향수」 에 비친 냄새와 존재성에 관한 연구
- 신화와 비극에서 서정 비극으로: 키노의 『알케스티스』 다시쓰기
- Principales caractéristiques de l'environnement éducatif coréen relatif à l'enseignement du français
- 직명어휘의 여성화
- 갈등과 균형
- 클로델의 중국 취향에 관한 한 연구
- 발자크 Honoré de Balzac의 「알려지지 않은 걸작 Le Chef-d'oeuvre inconnu」의 미술사적 분석
- 자연주의 연극의 현대성과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 19세기 후반 프랑스 문학작품에 나타난 파리의 일상 공간
- Le Grand Meaulnes mal lu
- 프랑스의 지방어 보호와 육성 정책
- 『성자 주네』 , 감동과 상상의 미학
- 문학과 사상의학
- 영화 기법과 모럴의 문제
- 소통과 번역
- 사무엘 베케트 극의 우정에 관한 고찰:『고도를 기다리며』
- par exemple와 en l'occurrence
- 코칭의 문화적 통합성 고찰
- 프랑스의 민족 정체성과 포도주
- 신화 속 여성들을 통해 본 유르스나르의 여성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파리Paris시의 도시 문화이미지 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