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미 FTA와 총요소생산성 향상 효과 - 제조업부문 시계열 자료에 의한 분석
이용수 612
- 영문명
- Korea-US FTA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Effects: An Empirical Analysis with Industrial Panel Data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이상헌(Lee Sangheon)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30호, 7~4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0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연구에 의하면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는 생산성 향상 효과를 고려하느냐의 여부에 의하여 GDP 증가율 기준으로 4.45배의 차이가 나며, 따라서 대부분의 경제적 효과는 생산성 향상 효과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의 한미FTA의 생산성 향상 효과 추계과정은 부분적으로 오류를 포함하거나 논리적 근거가 빈약하다. 본 연구는 수출입과 외국인 직접투자 그리고 R&D 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및 수출입이 외국인 직접투자와 R&D 투자에 미치는 효과를 Panel GMM 분석방식으로 직접 추정하고, 이들 개별효과를 결합하여 한미FTA의 총요소생산성 향상 효과를 추계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한미FTA로 인한 대미 수출입 증가에 의하여 총요소생산성은 모두 0.0855%p 증가한다.
영문 초록
TFP effect was central in the debate around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US FTA. The official report argues that TFP increases 1.2%p for 10 years following the Agreement, and that the consequential effect on GDP growth rate is 4.45 times high in the model including TFP effect.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 and procedure of estimating TFP in the official paper, and identifies where the errors come in. It then calculates the TFP effect of Korea-US FTA. It first estimates how TFP is affected by exports and imports, FDI, and R&D. It also estimates how exports and imports affect FDI and R&D. Finally, it puts together the unbiased estimates of each regression equation, price elasticities of exports and imports, and tariff effects of the Agreement. It concludes from this calculation that Korea-US FTA increases TFP by the estimated value of 0.0855%p.
목차
Ⅰ. 서론
Ⅱ.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 정부산하 연구기관 공동보고서
Ⅲ. 제조업부문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 실증분석
Ⅳ. 한미FTA의 총요소생산성 효과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Ⅱ.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 정부산하 연구기관 공동보고서
Ⅲ. 제조업부문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 실증분석
Ⅳ. 한미FTA의 총요소생산성 효과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훈, 『인간을 위한 경제학』, 도서출판 길, 2008
- 인구 고령화와 고령친화적 고용정책의 가능성 -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민주화 이후 복지정책의 변화와 과제
- 한미 FTA 협정과 상품 제조업 영향
- 계층별 사적이전에 대한 분석
- 세계화, 불평등과 복지국가
- 가격역전과 관련한 맑스의 자본개념의 정합성 연구 - 박만섭(2006)과 류동민(2006)의 문제제기에 답하며
- 맨큐의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와 대안적 재해석
-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한 진화경제학적 평가
- 사회경제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한미 FTA와 총요소생산성 향상 효과 - 제조업부문 시계열 자료에 의한 분석
- 정부의 통화정책과 케임브리지방정식
- CGE에 의한 한ㆍ미 FTA의 거시경제효과 분석 - 비판적 검토와 협정문에 따른 추계
- 한국 경제의 성장과 변동 - 수요 중심의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