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esent Condition and Social Network of the Southeast Asian Muslim Immigrants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안정국(Ahn Jung-K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29권 제1호, 67~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one mainly through survey research. Nevertheless, It was impossible to obtain any kind of list of Muslim immigrants from Southeast Asia and their addresses. On this account, a probability sampling couldn"t be applied. Instead of it, the researcher used Judgemental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He acquired personal information of study samples from mosques and small prayer places(musalla) in Seoul, Busan and Ansan mainly.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and social network of the Southeast Asian Muslim Immigrants, especially, Indonesian and Malaysian Muslim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er found differences of two immigrant groups, for instance, type of visa, purpose of entra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Indonesian labour group and Malaysian student group. Most of them have regular religious gatherings in mosques and musallas. Especially, Indonesian muslim group began to establish their own organizations combining spontaneous small local groups.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and social network of the Southeast Asian Muslim Immigrants, especially, Indonesian and Malaysian Muslim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er found differences of two immigrant groups, for instance, type of visa, purpose of entranc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Indonesian labour group and Malaysian student group. Most of them have regular religious gatherings in mosques and musallas. Especially, Indonesian muslim group began to establish their own organizations combining spontaneous small local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이주 유형
Ⅲ. 사회적 연결망의 형성과 조직화
Ⅳ. 결론
참고문헌
Ⅱ. 이주 유형
Ⅲ. 사회적 연결망의 형성과 조직화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