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urvey on the Conceptual change regarding face painting after world-cup game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민유숙(Min You-Suk) 이진용(Lee Jin-Y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6권 제2호, 109~1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human’s desire for beauty has been incessantly continuing and its demand has changed depending upon cultur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era. Beginning from beauty make-up to hide her own weakness and brighten her own strength, it has been developing to such deeply-aesthetic art such as art make-up and body painting. It is reckoned as remarkable in that the art industry plays a role in its aesthetic function and it has been considered part of art.
Hence, a whole development of beauty art, in general, would advance into a new concept of art, not just a part of functional aesthetic field which used to be ignored, in particula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make-up, body painting, and face paining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into art, not just functional beauty.
Accordingly, World-Cup gave us chances to reconsider face paining in a different way of thinking and the face paining now looks different to us than before. In addition, it might be conspicuous in that it has given us a chance to join the event beyond seeing.
Accordingly this study guides us to review change of thought about face paining after World-Cup and suggests us a developing method, not to speak of finding such ways to develop in our neighboring living boundary.
Hence, a whole development of beauty art, in general, would advance into a new concept of art, not just a part of functional aesthetic field which used to be ignored, in particular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make-up, body painting, and face paining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ing into art, not just functional beauty.
Accordingly, World-Cup gave us chances to reconsider face paining in a different way of thinking and the face paining now looks different to us than before. In addition, it might be conspicuous in that it has given us a chance to join the event beyond seeing.
Accordingly this study guides us to review change of thought about face paining after World-Cup and suggests us a developing method, not to speak of finding such ways to develop in our neighboring living boundar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범위 및 방법
Ⅳ. 연구분석 및 결과
Ⅴ. 연구 평가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범위 및 방법
Ⅳ. 연구분석 및 결과
Ⅴ. 연구 평가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염색 전 트리트먼트 처리에 따른 모발색의 변화 연구 - 앰플 도포량에 따른 변화
- 신윤복(申潤福)의 풍속화(風俗畵)에 나타난 조선시대 미용문화(美容文化) 연구
- 비타민-C 이온영동법 관리의 피부미백효과
- 향수 광고 모델의 비주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여성 향수 광고를 중심으로
- 오페라 카르멘의 성격분장에 관한 연구
- 색조 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유행 색채 변화에 대한 연구 - 아이섀도를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들의 주름 발생, 지식과 케어 행위
- 학회소식 외
- 열기구 펌 시술 이용에 관한 소비자 연구 - 대전지역 일부 여성을 중심으로
- 미용 산업에 있어서 접점 종업원의 조직시민행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월드컵 이후 달라진 페이스페인팅의 인식변화에 대한 조사 연구
- 미용 전문잡지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변화에 관한 연구 Ⅰ - 컨슈머 스타일을 중심으로
- 영화에 나타난 메이크업 스타일에 관한 연구 - 「티파니에서 아침을」ㆍ「에비타」ㆍ「추억」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