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Hair Style - from 1950 to 2001 -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김희숙(Kim Hee Sook) 유송옥(Yoo Song O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2권 제2호, 47~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8.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20th Korean women"s hair style the result of the study as follows :
In the period 1950
1. The drastic social changes such as civilzation and revolution togethor with the in 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ffected hair style, and clothes.
New women and high school girls wore the modified costume, high volame, hair style, But general public women keep to traditional hair style and perm hair style.
2. In recent year after 1960" s economic development the women"s social status were pormoted after 1970"s, vari our hair style phasize short cut, there by resulting in remarkable modification in the Korean women"s apperance.
In those days, there was the large hair cosmetic product of vavious hair color.
3.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value of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otal fashion is the harmonization of clothes and hair style.
4. It was also suggested Korean beauty in the future should be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 and modern sense.
In the period 1950
1. The drastic social changes such as civilzation and revolution togethor with the in 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ffected hair style, and clothes.
New women and high school girls wore the modified costume, high volame, hair style, But general public women keep to traditional hair style and perm hair style.
2. In recent year after 1960" s economic development the women"s social status were pormoted after 1970"s, vari our hair style phasize short cut, there by resulting in remarkable modification in the Korean women"s apperance.
In those days, there was the large hair cosmetic product of vavious hair color.
3.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value of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otal fashion is the harmonization of clothes and hair style.
4. It was also suggested Korean beauty in the future should be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 and modern sens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한국여성헤어스타일 변천의 시대적 배경
Ⅲ. 한국여성 헤어스타일 변천과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한국여성헤어스타일 변천의 시대적 배경
Ⅲ. 한국여성 헤어스타일 변천과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대학생의 발건강 및 족부변형에 관한 조사연구
- 곱슬 스트레이트 퍼머에 관한 연구 - Permanent style 시대흐름을 중심으로
- "외모가꾸기"를 통해 본 남녀 신세대 문화연구
- 20세기 헤어스타일 변천사 고찰
- 헤어예술의 조명표현에 관한 연구 - 헤어피스를 이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 컬러링 헤어스타일 선호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에스테틱에 영향을 미치는 근육학에 관한 고찰
- 학회소식 외
- 고객의 헤어칼라와 이에 관련된 요인분석
- 미용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 미용사 국가기술자격검정의 현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신체 장식의 Tattoo(문신)메이컵에 관한 연구
- 미용기술학원 교육실태에 관한 연구 - 자격검정대비반을 중심으로
- 한국 현대여성 헤어스타일 변천과 특징에 관한 연구 - 1950년 ~ 2001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