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와 유아 문학 교육
이용수 257
- 영문명
- Child and Early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김정화(Kim Jeong-hwa)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2권 제1호, 229~2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사가 유아 문학 교육을 계획하고 운영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적인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유아 문학 관련 문헌들을 참조하여 문헌연구의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구체적으로 유아 문학이란 무엇이며, 문학 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무엇인지, 좋은 문학작품은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 실제로 문학작품을 어떻게 읽어주며 추후 활동은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 등에 대해 원론적인 원리들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n introduction to the body of fundamental guidelines to plan and exercise early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Texts in early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have been reviewed. I have identified the notion, purpose, content of the early children literature education, and proposed the criterion of choosing good picture books, how to read them and to lead relative activities.
목차
〈요약〉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
- 국어 교재와 문화
- ‘들려주는 문학, 옛날 이야기’와 ‘어린이와 유아 문학 교육’에 대한 토론문
- 그림책을 활용한 독서교육연극 토론문
- 휘보 외
-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분석과 과제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과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
- 이주 아동을 위한 한국어 수업과 교재
-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의 개발 방향
- 어린이와 유아 문학 교육
- 한글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입말을 살리는 유아기 문자 교육의 방향
- 들려주는 문학, 옛날이야기
- 국어과 교재와 디자인의 기능
- 『우리말우리글』을 통해 본 새 교과서의 방향 - 『우리말우리글』을 학교에서 써본 경험을 되돌아보고 새 교과서가 이루어야 할 것을 짚어봄
- 외국인 근로자 교재 제작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