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진단방법론에 있어서 “재역사화(Rehistorisierung)” 개념이 갖는 존재긍정적 의미 고찰
이용수 1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that positively accepts an existence in the concept of re-historisation: in the area of the method for disability diagno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Cheong E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2권 제4호, 27~4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2,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w. Jantzen이 제안한 “재역사화” 개념을 중심으로 기존의 장애(인) 존재 부정적 진단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존재긍정적 장애진단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진단자와 피진단자의 병리적 관계 회복 및 인간 뇌의 보편적 능력의 성실한 발현을 위해서는 피진단자의 삶을 재역사화 하여 그를 ‘이해하는 진단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주체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이러한 새로운 진단작업은 또한 이를 통해 피진단자 뿐 아니라 진단지(전문가)의 삶도 긍정되는 결과를 성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즉 장애를 ‘당신’의 이야기에서 ‘우리’의 이야기로 전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이러한 재역사화 하는 진단학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consider the diagnosis method which denies the existence of disabiliry or disabled people focusing on the concept of re-historisation, which W. Jantzen has suggested, and then develop a method for disability diagnosis which accepts its existence. For doing this, the researcher has set up the category of possibility and the consequence of resilience as the key subjects of this study for criticall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agnostician and the customer as well as their diagnosis process.
As a result, it has been learned that a re-historisation of customer"s life and the diagnostics in which the re-historisation can be fully understood are necessary for restoring pat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iagnostician and the customer as well as for revealing general ability of human being"s brain. This new method of diagnostics which permits subject-recognising approach is important for reason that through the method the customer"s as well as diagnostician"s life can be positively accepted. So it is suffice to say that it is the new method of re-historising disagnostics that plays a key role in converting "your stories" to "our stories".
As a result, it has been learned that a re-historisation of customer"s life and the diagnostics in which the re-historisation can be fully understood are necessary for restoring pat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diagnostician and the customer as well as for revealing general ability of human being"s brain. This new method of diagnostics which permits subject-recognising approach is important for reason that through the method the customer"s as well as diagnostician"s life can be positively accepted. So it is suffice to say that it is the new method of re-historising disagnostics that plays a key role in converting "your stories" to "our stories".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장애진단과정의 근본적인 문제
Ⅲ. “재역사화(Rehistorisierung)” 개념에 기초한 존재긍정적 장애진단방법론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장애진단과정의 근본적인 문제
Ⅲ. “재역사화(Rehistorisierung)” 개념에 기초한 존재긍정적 장애진단방법론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자치단체의 정신지체 성인교육 프로그램 평가 연구
- 부모지원-가정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 교육실습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태조사
- 장애진단방법론에 있어서 “재역사화(Rehistorisierung)” 개념이 갖는 존재긍정적 의미 고찰
- 비구어 지체장애 학생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지도의 실태 및 요구분석
-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통합교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요건
-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와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및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특성
- 산학협력 중심의 직업교육이 정신지체 전공과 학생의 직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 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들의 삶에 관한 어머니들의 보고
- 장애 대학생의 효과적 학습 지원을 위한 e-러닝 설계 전략 연구
- 인지적 장애를 지난 아동을 위한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 국내 쓰기 학습장애아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