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족 극작가 황봉룡 희곡에 나타난 영화 기법 연구 - 〈괴상한 략력표〉와 〈배우와 강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41
- 영문명
- A study on the dubious curriculum vita of Hwang bong-ryong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남석(Kim Nam-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47집, 465~4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wang bong-ryong"s play is included in the genre of melodrama.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typical melodrama"s composition. There are critical senses of the reality and artistic answer in his plays. Hwang bong-ryong"s play treat the social problem, social stratum trouble and try to find a solution with the view of city-country"s people. Hwang bong-ryong"s play also show us new outlook on marriage, under the influence of changing traditional gender idea. Structurally, the words in the Hwang bong-ryong"s play, are very colorful to attract audience"s attention. On this account, Hwang bong-ryong"s play have it both ways, popularity and thesense of the times. Specially, the good point of his play is not boring to show social problem. To conclude, Hwang bong-ryong"s play develop the play that have critical senses of the reality.
목차
Ⅰ. 조선족 극작가 황봉룡
Ⅱ. 화면 이동과 클로즈 업의 활용
Ⅲ. 설정화면과 쇼트의 배열
Ⅳ. 내적 번민의 시각화
Ⅴ. 황봉룡과 영상 미학의 상관성
Ⅵ. 〈괴상한 략력표〉전후, 황봉룡 연극 세계의 변모 양상
참고문헌
〈Abstract〉
Ⅱ. 화면 이동과 클로즈 업의 활용
Ⅲ. 설정화면과 쇼트의 배열
Ⅳ. 내적 번민의 시각화
Ⅴ. 황봉룡과 영상 미학의 상관성
Ⅵ. 〈괴상한 략력표〉전후, 황봉룡 연극 세계의 변모 양상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족 극작가 황봉룡 희곡에 나타난 영화 기법 연구 - 〈괴상한 략력표〉와 〈배우와 강도〉를 중심으로
- 당대적 시원으로서의 김승옥 소설과 위악의 수사학 - 「환상수첩」을 중심으로
- 시적 화자와 몰개성적 상상력
- 요산 김정한 소설의 원전비평적 연구
- 임화와 종로
- 에스닉 잡지 소재 재일한인 생활사소설의 양상과 의미
- 개화계몽담론과 놀이의 근대적 재편 - 『매일신문』을 중심으로
- 박목월 시의 문체론적 고찰 - 《경상도의 가랑잎》을 중심으로
- 김지하 시의 陰陽원리와 ‘치유’의 문제
- 한국문학회 휘보 외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역사의 서사화 방식 연구
- 국어와 일본어의 틈새, 재일 한인 문학의 자리 - 『漢陽』, 『三千里』, 『靑丘』의 이중 언어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신경쇠약증과 언어적 심미성에 관한 일 고찰
- 1960년대 『한양』 소재 재일 한인 시문학 연구
- 〈열녀춘향수절가〉 구성의 주역적 원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