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신세대의 문화코드와 패션 경향 연구
이용수 163
- 영문명
- A Study on Cultural Codes and Fashion Trends of Digital Gener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지영(Ji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1권 1호, 179~1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29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culture has become the new key words for fashion, young people, who seek to share cultures in which they are interested, or sentiments with others, have built various networks both on-line and off-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ultural codes and fashion trends of young digital generation aim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design plans and marketing strategies.
The cultural codes of young digital generation were differentiated individualization, consumption according to value, participation through share and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culture. The propensities to consume of digital generation were ‘fast fashion’ and ‘bipolar consumption’. Fashion trends of digital generation could be summarized as sporty fashion, hybrid fashion, and entertainment fashi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cultural codes and fashion trends of young digital generation, it is anticipated that active and practical markets for young digitals will expand and become more segmen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that satisfy the polarized consumption behavior of youth and incorporate fun-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ultural codes and fashion trends of young digital generation aim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design plans and marketing strategies.
The cultural codes of young digital generation were differentiated individualization, consumption according to value, participation through share and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culture. The propensities to consume of digital generation were ‘fast fashion’ and ‘bipolar consumption’. Fashion trends of digital generation could be summarized as sporty fashion, hybrid fashion, and entertainment fashi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cultural codes and fashion trends of young digital generation, it is anticipated that active and practical markets for young digitals will expand and become more segmen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that satisfy the polarized consumption behavior of youth and incorporate fun-facto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디지털 신세대의 문화코드
Ⅲ. 디지털 신세대의 패션경향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디지털 신세대의 문화코드
Ⅲ. 디지털 신세대의 패션경향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차원을 이용한 인대의 입체 및 평면재단에 따른 길원형 패턴 비교
- 2007년 생활과학연구소 월별 사업 외
- 아동의 양육환경이 초등학생의 편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섬유소재 인지도와 의복구매시 섬유소재 특성 중요도
- 결혼피로연 음식에 대한 충북지역 주민의 인식 및 만족도
-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식 및 정보요구도
- 취학 전 어린이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과 음식기호도의 차이
- 모유, 조제분유 또는 조제두유 수유로 인한 생후 1년 동안의 비용 산출
-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결합도 및 양육일치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충북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실태와 결혼만족도
- 청소년의 가족환경요인과 자살생각 -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디지털 신세대의 문화코드와 패션 경향 연구
- 대학원 연구실의 겨울철 실내환경 실태
- 모바일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 덴마크 여성고용정책의 조합과 시사점
- 취업모의 부모역할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